분류 전체보기

방사선 쪽지시험을 쳤다. 시험에는 반영안되는 것 같으나, 중간고사의 방대한 량을 미리 공부한 것 같아 후련하다.

대부분은 시험기간에 하지 왜 귀찮게 하냐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 이렇게 강제적으로라도 미리 봐놔야... 시험기간에 모든 양을 외울 수 있다.

본2때 침구경혈의 쪽지시험은 매주 월요일 있었는데, 나는 그게 너무 좋았다.

우리반 학우가 보면 미친놈이라 생각하겠지만..


시험기간에 많은 양을 보는 것은 매우 스트레스다.


본2 때, 진단학 과목은 방대하기 유명한데, 인간이 소화할 수 없는 양이었다.ㅋ
난생 처음으로 교과서 보는 것을 포기하고, 시험장에 갔지만,,

포기한 부분이 1도 출제가 안됬다. ㅋ 거의.. 2/3분량인데 ㅋ



오늘은 날이 좋아서, 수업을 마치고(6시 10분) 쪽지시험 준비로 쌓인 여자친구의 스트레스를 풀어주기 위해

시험기간엔 못갈 벚꽃나들이를 갔다.

사람과 차가 많았는데,, 올만에 바람쐬서,, 좋았음

불쌍한 여자친구... 공부랑 컴퓨터에 빠져사는 남자친구 만나서,, 시간도.. 차량도.. 보유했지만 자주 못놀러가서 미안하다...

그만큼 잘해줘야짓..

image

image

image

방사선 - 4주차

2018. 4. 2. 12:43

※45. Lung or Mediastinal mass

SPN(solitary pulmonary nodule) - 3cm 이하의 단일 폐결절

etiology(병인)

① inflammatory granuloma (m/c) - 3cm이하의 단일성 폐결절로 가장 많음 50%

② lung cancer : 45%

③ harmatoma : 과오종 양성결절 5%

※기출: SPN(solitary pulmonary nodule) - 단일 폐결절의 etiology 쓰기.

※46. Differential diagnosis(D/D) of SPN (※밑줄기출)

image


※47. D/D of cavitary SPN (공동화된 폐결절의 분류)

image

▴ Cavity(공동화) : lung mass(폐종괴)의 내부가 necrosis(괴사)에 빠진 후 괴사성 물질이 bronchus를 통해 빠진 후 배출되고 공기가 차있는 것

▴ Benign lesion : lung abscess(폐농양), tubrculosis(결핵)

※기출: Cavity solitary pulmonary nodule의 benign과 malignancy 감별 쓰기

48. pleural effusion(흉막 삼출)

pleural cavity(흉막강)에 fluid가 차는 것

pulmonary tuberculosis((m/c)-most common) - 폐결핵시 관찰됨

49. calcification(석회화)

① tuberculous granuloma (결핵성 육아종)

② tuberculous lymphadenitis (결핵성 림프절염)

③ pleural calcification (흉막 석회화)

- 결핵은 림프노드를 침범후 나오면서 석회화 된다고 한다.

※50. Pulmonary emphysema

▴ Definition : alveolar wall(폐포벽)의 파괴로 terminal bronchiole(말단기관지)보다 말단의 air space가 확장된 것

▴ x-ray finding

① change in chest wall diaphragm (흉벽과 횡격막에서의 변화)

  • ⓐ depression of diaphragm (횡격막의 하방전위)
  • ⓑ costophrenic angle blunting (늑-횡격막각 무뎌짐)
  • ⓒ decreased phrenic motion (fluoscopy) (횡격막 움직임 감소)
  • ⓓ increased retrosternal space (종격동 뒷공간 증가)
  • ⓔ increased intercostal space (늑골간 간격 증가)

② change in lung parenchyme (폐실질조직의 변화)

  • ⓐ increased radio-lucency (폐의 과투과)
  • ⓑ bulla formation (기포의 윤곽 형성)
  • ⓒ decreased in size of peripheral pulmonary vessels (말초 폐혈관의 감소)

③ change in heart

  • ⓐ long slender heart (길고 가는 심장)

※기출: 폐기종의 X-ray finding 중 폐실질조직의 변화를 쓰시오.

※기출: 폐기종의 X-ray finding을 쓰시오.

※51. Pneumothorax (기흉)

▴ air in pleural cavity (흉막강 내에 공기가 찬 것)

▴ Spontaneous Pneumothorax - healthy young male, smoking

- subpleural bleb rupture(공기주머니가 터짐)

▴ Traumatic Pneumothorax - open, closed wound

▴ X-ray finding (※기출)

① radiolucency in lateral lung (흉곽 외연의 과투과 부위)

② linear radio-opaque visceral pleura (내장흉막의 내측 전위)

③ collapsed lung (오그라진 폐)

52. mastectomy(유방절제), hypoplasia of pectoralis major M.(대흉근 형성부전)

- soft tissue의 thickness 감소로 decreased opacity (연부조직의 두께 감소로 흉부 X선상 과투과 소견)

※53. CT (전산화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 indication

  • ① staging of lung cancer (폐암의 병기판정)
  • ② mediastinal disease (종격동 질환)
  • ③ pleural disease (흉막 병변)
  • ④ greater vessel disease (대혈관 병변)

▴ Window (ppt 참조)

  • ① mediastinal window (종격동 창) - 폐구조물은 안보이고 종격동내 잘보임 width 200~250, level 60~80
  • ② lung window (폐 창) - 위와 같은 사진이나 조건을 달리할 경우 폐만 잘 볼 수 있다
  • ③ window width & window level(창 단계와 창 넓이)를 조절하여 볼 수 있음

▴ Intravenous contrast media injection(iodine compound)

  • - vessels, lymph node, mass (구별힘들어 조영제사용)

▴ Spiral CT (나선식 CT) 요즘 대부분의 CT

※기출: CT 전산화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의 indication 쓰시오.

54. Angiography (혈관조영술)

▴ pulmonary angiography (폐 혈관 조영술)

① pulmonary embolism (폐 색전증) 과

② arteriovenous malformation (동,정맥이 바로 연결되는 기형) 의 진단과 치료하기 위해

※ AV malformation : 선천적 동정맥 기형 - 혈액이 동맥→모세혈관→정맥 순으로 흘러야하나 모세혈관이 없어지고 동맥에서 바로 정맥으로 연결된 것으로 원래 capillary에서 압력이 줄어야하는데 줄지 않고 정맥으로 바로 들어와 정맥이 팽창하여 mass처럼 보인다.

cf) AV fistula : 후천적 동정맥 기형

▴ bronchial arteriography (기관지동맥 조영술) : treatment of hemoptysis -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 bronchial a. 는 Aorta에서 기시하여, lung 자체에 영양공급하는 동맥이다

- 객혈을 일으키는 vessel을 인공적으로 embolization(색전)으로 막아서 기침이 안나오게 하기 위해서, 조영술로 찾아본다는 말

(객혈을 치료하기 위한 기관지동맥 색전술의 목적으로 시행) cf) hematemesis : 토혈

▴ Aortography (대동맥 조영술) - pulmonary sequestration(폐 분리증을 진단시에 이용함)

cf) bronchial artery는 descending aorta에서 기시한다.

※55. RI(Radioisotope) imaging (방사성 동위원소 검사)

방사선동위원소에 각 기관에 특이하게 집적되는 물질을 붙여 투여하여 방사선동위원소에서 나오는

γ-ray를 γ-camera로 잡아 영상으로 표현하는 것

▴ perfusion scan(관류주사): Tc-99m MAA(MacroAggregated Albumin)

▴ ventilation scan(환기주사) : Xe-133

56. ultrasonogragraphy(초음파 진단법)

- 폐에는 잘 이용 안 함. 100%반사시켜 뒤쪽부분이 잘 안 보임(brain, lung은 검사못함)

- air나 brain에서 다 반사시켜 lung을 못봄

▴ indication

  • ① chest wall disease (흉곽벽 질환)
  • ② diaphragm disease (횡격막 질환)
  • ③ pleural effusion (흉막액 삼출)
  • ④ heart disease (심장질환)
  • ⑤ pulmonary sequestration (폐분리증)

57. MRI (자기공명영상)

▴ staging of lung cancer, mediastinal disease에 이용

▴ heart beat이나 respiration으로 인한 artifact가 발생한다

Ⅱ 감염성 폐질환

58. 폐렴(Pneumonia) - 대부분 non-specific finding (59번~62번까지 관련)

▴ Radiological classification (방사선학상 분류 - 원인균의 분류)

① lobar pneumonia (대엽성 폐렴)

② bronchopneumonia (기관지 폐렴)

③ interstitial pneumonia (간질성 폐렴)

④ mixed pneumonia (혼합형 폐렴)

※59. lobar pneumonia (대엽성 폐렴)

▴ pneumococcal pneumonia (폐렴구균성 폐렴)이 대표적

lobar distribution (대엽성으로 분포하는 이유) : Infection으로 인한 exudate, pus가 pore of Kohn(콘세관, 폐포와 폐포사이의 통로), channel of Lambert(람버트관, 폐포와 폐포관의 통로)을 통하여 파급되다가 interlobar fissure(엽간열)에 도달하면 더 이상 진행 못하므로

▴ segmental, subsegmental distribution (구역성, 아구역성분포)가 대엽 전체의 분포보다 더 흔하다

▴ X-ray finding

① ill-defined homogeneous increased density 불분명하게 균등한 밀도 증가

② air bronchogram 공기 기관지조영

③ rapid change

※60. bronchopneumonia (기관지 폐렴)

▴ peribronchial infiltration (기관지 주위의 침윤)

streptococci (연쇄상구균), staphylococci (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

X-ray finding

- ill-defined peribronchial airspace consolidation

(기관지 주위로 경계가 불분명한 기강 경화로 혈관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고 너덜너덜하게 보임)

※61. interstitial pneumonia (간질성 폐렴)

▴ interstitial infiltration (간질성 음영)

▴ Virus, Pneumocystis carini가 원인

X-ray finding

① ground glass density (간유리)

② reticular density (망상형)

③ reticulo-nodular density (소결절형)

※62. Mixed pneumonia (혼합형 폐렴)

1) septic pneumonia (패혈성 폐렴 - 균이 포함된 emboli가 폐조직에 가서 형성)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나 sepsis (패혈증)환자에서 septic emboli가 폐에 퍼져 조직의 파괴와 cavity를 만든다. 양쪽 폐에 multiple airspace consolidation (공간통합)을 보이고 central cavity를 형성한다.

(즉 아급성 균의 심장 내막염이나 패혈증환자에서 색전이 폐로 가면 조직의 파괴와 함께 공동을 만든다. 다발성의 임의로 분포하는 폐포성 경화로 나타나며 중심공동화를 형성한다는 뜻)

※2) Aspiration pneumonia (흡인성 폐렴)

▴ coma patient (의식불명환자), esophageal obstruction patient (식도폐쇄환자, 식도암등, 술 취해 누운 사람이 구토할 경우)

common site

① posterior segment of RUL (누운 경우)

② superior segment of RLL (누운 경우)

③ lower lobe (erect) - 직립시

※3) Lung abscess (폐농양)

etiology (병인)

① aspiration pneumonia (흡인성 폐렴)

② necrotic pneumonia (괴사성 폐렴 - 폐렴이 심해져 괴사된 것)

- necrotic tissue 가 bronchus 를 통해 배출되어 cavity 형성

※▴ X-ray finding

① central air fluid level - 괴사물질이 기관지를 통하여 배출되어 내강 형성

② peripheral air space consolidation - 주변부에 氣腔 경화

63.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 (63번~끝까지 관련)

▴ 유병율 1.0%(1995년 통계)

▴ Type:

① primary pumonary tuberculosis (1차 폐결핵)

- 1st infection, 소아에 발병, 대부분 self-limit(발병 안하고 치유), 5~10%에서 발병

② secondary pulmonary tuberculosis (2차 폐결핵)

- (=reactivation tuberculosis(재활성화 결핵))이라고도 함

- 성인에게 발병, primary infection(초기에 감염)된 균이 안정상태에 있다가 숙주의 면역저하로 재활성화

64. Primary tuberculosis(1차 결핵)

※▴ X-ray finding (secondary Tb와 다른 점)

① segmental or lobar consolidation 분절성 혹은 엽성 기강경화로 lobar pneumonia와 비슷함

RML, both lower lobe, anterior seg of UL 우중엽과 양쪽 하엽, 상엽의 전분절

② hilar or mediastinal lymphadenopathy 폐문 혹은 종격동의 림프절 확대

pulmonary hilum, right peribronchial, subcarinal, AP window 폐문, 우측기관분기 하부나 대동맥, 폐창 부위

③ pleural effusion이 흔하다. 흉막삼출이 흔하다

④ miliary tuberculosis(속립성)가 흔하다.

LN (림프절) → thoracic duct (흉관) → SVC (상대정맥) → pulmonary A. 의 순서를 통해서 lung 전체로 퍼짐

A multiple small nodule in both lung(2-3mm)

65. Extrapulmonary tuberculosis (폐 바깥의 결핵)

▴ Brain : tuberculous meningitis (결핵 수막염)

▴ Kidney : renal tuberculosis (신장 결핵)

▴ Bone : spinal tuberculosis (척수 결핵)

▴ Intestine :tuberculous enteritis (결핵성 장염)

66. Differential Diagnosis(D/D) (1차 결핵과 박테리아성 폐렴의 비교)

image

67. secondary tuberculosis (2차 결핵)

▴ M/C(most common)site

- pulmonary apex, superior seg of LL (폐첨부, 하엽의 상분절)

▴ 폐첨부에 잘 생기는 이유

① low pul. Arterial pressure (폐동맥압이 중력의 영향으로 비교적 낮으므로)

② decreased lymphatic drainage (호흡에 따른 움직임이 작기 때문에 림프액 배액이 저하되어 있어서)

③ increased O2 saturation (산소포화도가 높아서)

▴ early x-ray finding

① small nodular & linear density (소결절, 선상의 음영)

② ill defined patchy density (경계가 불분명한 너덜너덜한 모양의 음영)

68. D/D (폐결핵과 폐렴의 비교)

image

69. D/D (결핵성 공동과 폐농양의 비교)

image

'한의대 생활 > 본3 -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 - 6주차  (0) 2018.04.14
방사선 - 5주차  (0) 2018.04.10
방사선-3주차  (2) 2018.03.29
방사선-2주차  (2) 2018.03.28
방사선 1주차  (0) 2018.03.27

방학 후반부터 개강하고나서 지금까지는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공부했다.

본3은 임상과목이 많아서 딱히 버릴 수 있는 과목이 없었고, 임상의 기초를 배워야하기 때문에, 수업을 다 들어야만 했다.

그래서 마치고 난뒤, 약간의 낮잠 후 기본 공부를 12시 정도까지 한 것 같다.

2월부터 3월말까지

github/ excel / 파이썬 numpy, pandas/ rxandroid자료조사 / 웹크롤링 맛보기 정도만 했다.


이제 시험기간의 시작(4. 20)이라 다 종료하고 공부만 하려고한다.

학점유지(4.0대..)하면서 다른 것을 하기란 매우 힘든 것 같다.


나는 무사히 원하는 것을 다 할 수 있을까?


나의 목표가 명확해지도록 만들어준 여자친구에게 감사한다

방사선-3주차

2018. 3. 29. 20:58

※26. Mediastinum 구성요소

종격동(Mediastinum) : 양폐 사이에 있는 soft tissue

▴ heart, greater vessels, fat, trachea, bronchus(heart는 1/3은 우측, 2/3은 좌측)

Right border - SVC, right pulmonary hilum, right artrium

Left border - left subclavian artery, aortic arch, left pulmonary hilum, left ventricle

※기출: 종격동의 RIGHT BORDER 구성

※27. Pulmonary hilum(폐문)

▴ Hilum을 구성하는 구조물 :

pulmonary artery, superior pulmonary vein, bronchus, bronchial vessels, nerve, lymphatics

Chest PA 상 보이는 것은(※기출) :

pulmonary artery, superior pulmonary vein, bronchus

(inferior pulmonary vein은 폐실질 내에서 횡으로 주행하여 좌심방으로 유입되며, 폐문부 아래에 위치하여 흉부 X선에서 폐문 음영을 형성하지 않는다)

※기출: Hilum의 구조물 중 방사선 상으로 보이는 것은? 위문제와 답은 같은 것 같습니다...

※28. Pulmonary hilum 의 정상높이

▴ Hilar point : Pulmonary artery가 upper & lower branch로 분지하는 부위

▴ Pulmonary hilum 은 left가 right보다 1cm 높다

- Right는 PA가 RUL bronchus 하방으로 지나가고 Left는 PA가 left main bronchus 상방으로 지나가기 때문이다.

▴ RUL atelectasis(우상엽 무기폐) - right hilum elevation

RLL atelectasis(우하엽 무기폐) - right hilum depretion

※기출: Pulmonary hilum 은 left 가 right 보다 1cm 높다 높은 이유는?

※29. Trachea, Bronchus(기관, 기관지) (※밑줄내용 기출)

▴ Tracheal Carina(T6 정도에위치)

→ 기관용골. T1~T6까지가 trachea. T6에서 bronchus로 갈라짐.

foreign body aspiration(이물흡입) 은 오른쪽에 더 잘 생김.

이유 - ① right main bronchus 가 더 수직으로 주행

② right main bronchus 가 더 직경이 크다

Chest X-ray 상 trachea, main bronchus, lobar bronchus는 보임

Segmental, subsegmental bronchiole은 보이지 않음

이유 - thin bronchial wall(기관지 벽이 얇고, 내외측이 공기로 차 있어서)

※30. Bronchus(기관지의 구역) ※기출: LUL & RUL을 구성하는 segment들은?

▴ Right lung(10) (10개의 segment가 있다)

RUL(Right Upper Lobe) - apical(폐첨), anterior, posterior

RML(Right Middle Lobe) - medial, lateral

RLL(Right Lower Lobe) - superior, medial basal(내측바닥), lateral basal, anterior basal, posterior basal

▴ Left lung(8) (8개의 segment가 있다)

LUL(Left Upper Lobe) - apicoposterior(꼭대기뒷구역, RUL의 apical + posterior), anterior, superior lingular(위혀구역), inferior lingular

LLL(Left Lower Lobe) - superior, anteromedial basal(앞안쪽바닥), lateral basal, posterior basal

※31. Interlobar fissure(엽 사이 간열 - 각각의 내측 흉막이 싸고 있어 드러남)

▴ Minor fissure(RUL&RML) - Chest PA 에 수평으로 얇은 선으로 나타남

(PA, lateral 둘다 보임)

▴ Major fissure(UL&LL) - anterior costophrenic sulcus에서 thoracic spine 후방까지

(PA view에서 안보이고) lateral view of chest에서 보임

※기출: about major & minor fissure (정확히는 모름)

→ 3차원적으로 생각해보면,

minor fissure는 PA view로 보던지 lateral view 로 보던지 ①,②의 너비 때문에 촬영시 뚜렷이 선으로 나타나지만,
(2개의 장측 흉막이 폐를 싸면서 겹치는 Interlobar fissure라서)

major fissure의 경우, PA view로 보게 되면 얇은 막의 두께만 가지기 때문에 촬영시에 육안으로 구분이 안된다. 따라서 major fissure는 lateral view로 관찰해야 ②의 너비를 통해 촬영시 뚜렷한 선으로 관찰할 수 있다.

EMB000018346b00

32. Pulmonary vessels

Normal lung에서 나뭇가지처럼 분지하는 구조물은 pulmonary artery or vein

(No bronchi)

※33. Diaphragm(횡격막)

※기출: Rt 가 Lt 보다 높은 이유?

▴ Normal chest PA

anterior arch of 6th rib / posterior arch of 10th rib 높이에서 관찰

▴ Rt 가 Lt 보다 높다

-이유 ① Liver dome (오른쪽은 Liver가 아래서 위로 밀어 올림)

② cardiac apex (왼쪽은 heaart가 위에서 아래로 내림)

참고) RUL이 무기폐가 되면, RML과 RLL에 공기가 더 차게 되어, Minor Fissure가 더 올라가면서 더 명확하게 보인다.


34. Soft tissue shadow

Supraclavicular companion shadow(쇄골상부동반음영) → 대칭성 꼭 확인

: supra-clavicular mass가 있으면, 동반된 음영이 사라져 안보인다..

※35. Silhouette sign(실루엣 징후)

▴ 병변이 어디에 위치하는가 감별하는 것으로 비슷한 음영도의 조직이 서로 접해있으면 윤곽이 소실된다.

서로 접해 있지 않으면 윤곽소실이 없다 예) pneumonia(폐렴), atelectasis(무기폐)

▴ Right cardiac border가 소실될 경우 - 병변위치 : medial segment of RML

Right diaphragm이 소실될 경우 - 병변위치 : RLL

Left cardiac border가 소실될 경우 - 병변위치 : lingular segment of LUL

Left diaphragm이 소실될 경우 - 병변위치 : LLL

※기출: silhouette sign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36. Abnormal finding (비정상 소견) (37번~51번 관련)

1) increased radio-opacity

① alveolar or air space consolidation (폐포성 경화)

② interstitial lung disease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③ atelectasis (무기폐)

④ lung or mediastinal mass

⑤ pleural effusion

⑥ calcific lesion (석회화)

2) decreased radio-opacity

① Pulmonary emphysema (폐기종) - 폐포 파괴로 확장

② Pneumothorax (기흉)

③ Mastectomy (유방절제술)

Congenital hypoplasia of pectoralis major muscle (선천성 대흉근 형성부전)

※37. Alveolar or air space consolidation (폐포 및 air space 경화)

▴ Definition

alveolar space, terminal bronchiole 에 exudate(삼출물), necrotic tissue(괴사조직)가 충만된 상태

▴ X-ray finding

ill defined homogeneous increased density(윤곽이 불분명한 균질성의 증가된 음영)

② air-bronchogram (공기 기관지조영상)

③ rapid change

※단어 정리

ill defined : 병변 부분과 정상적인 폐의 부분이 서로 경계가 명확하지 않을 때

well defined : 병변 부분과 정상적인 폐의 부분이 서로 경계가 명확할 때

homogeneous : 병변 부분이 대체로 동일하게 보이는 것, density 일정해 차이 없음

heterogenous(inhomogeneous) : 병변 부분 중에서도 균일하지 않게 섞여있는 것, density 차이나 얼룩덜룩함

※기출: Alveolar consolidation X-ray finding을 쓰시오

38. Air-bronchogram (공기-기관지 조영상)

▴ Bronchus주위의 alveolar space에 water, exudate가 차고 bronchus 내에는 air가 차서 정상적으로는 보이지 않던 bronchus 내의 air가 보이는 것

▴ Alveolar disease에서만 보임

※39. Alveolar consolidation (폐포경화)

Disease (※기출 폐포경화를 일으키는 질병들)

① Pneumonia (폐렴)

② Pulmonary edema (폐부종)

③ Alveolar proteinosis (폐포단백증)

④ Pulmonary hemorrhage (폐출혈)

⑤ Pulmonary infarction (폐경색)

⑥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세기관지폐포암종 : 폐암중 하나로 폐렴처럼 보이나 감염증상이 없고 항생제 효과없음)

※40. Interstitial lung disease (간질성 폐질환)

▴ Definition

both lung의 interstitial tissue에 diffuse infiltration (광범위 침윤)

interstitial tissue는 lung에서 alveoli, bronchi, pulmonary vessels을 제외한 tissue

▴ X-ray finding

① ground glass opacity (간유리)

② reticular density (망상음영)

③ nodular density (결절음영)

④ reticulo-nodular density (망상소결절)

⑤ honeycomb appearance (벌집모양)

▴ Disease

①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특발성 폐섬유증)

② congestive pulmonary edema (울혈성 폐부종)

(※교수님 설명 : Left heart가 열심히 일해야 하는데 제대로 일을 못할 때 혈액은 계속 돌아오는데 못 짜내니까 Left heart에 고이고, 그 결과 압력이 높아지고 폐에 전달되어 울결 생김.)

③ lymphangitic metastasis (림프관 전이)

※기출: Interstitial lung disease의 X-ray finding을 쓰시오.

※41. Kerley' B line (A~C중 가장 중요)

▴ Interstitial lung disease

Congestive pulmonary edema(울혈성폐부종), lymphangitic metastasis(림프관전이)시 interlobular septum(소엽사이막)이 edema 나 cancer cell infiltration(암세포침윤)에 의해 두꺼워져 chest PA상 costophrenic sulcus(늑골횡격막고랑) 부위에 1-2Cm길이의 수평으로 주행하는 1-2mm 두께의 선

※기출: Kerley'B line이란?

42. Atelectasis(무기폐)

▴Definition

alveolar sac 내의 공기가 흡수되어 , lung이 쪼그라진 상태(쪼그라지니 subtissue 처럼 xray에 보이게 된다)

▴Etiological classifcation(원인에 따른 분류)

① obstructive A

: endobronchial tumor(기관지암), foreign body, mucus plug(점액전색)

② passive A (※설명 : 폐 밖을 싸고 있는 pleural cavity에 공기, 물등이 찬 것)

: simple pneumothorax(기흉), pleural effusion(흉막삼출), hemothorax(혈흉)

③ compressive A (passive A의 일종으로 양이 많은 것)

: large lung mass, tension pneumothorax (흉막이 찢어져 공기가 들어간후 압력차로 다시 안빠져나가 생김, 음압인 cavity에 폐속의 공기가 한번들어가면 못빠져나오는 구조)

④ cicatrical A (반흔성)

: chronic destructive infection, radiation fibrosis (방사선섬유증), pulmonary fibrosis (폐섬유증)

⑤ adhesive A

: surfactant(표면활성물질) deficiency, hyaline membrane disease (유리질막증), radiation pneumonia

※43. Atelectasis(무기폐)의 X-ray finding

① Direct sign (직접 소견)

  • ⓐ increased opacity (폐 음영 증가)
  • ⓑ displacement of interlobar fissure (엽간열 전위)
  • ⓒ crowding of broncho-vascular marking (기관지혈관 음영 밀집)

② Indirect sign (간접 소견)

  • ⓐ elevation of diaphragm (횡경막 거상)
  • ⓑ displacement of heart, trachea, mediastinum, hilum (심장, 기관, 종격동, 폐문의 전위 - 무기폐가 있는 쪽으로 전위됨)
  • ⓒ compensatory emphysema (보상성 폐기종) (※ atelectasis가 생겨서 다른쪽 폐가 더 열심히 일해서 발생.)
  • ⓓ narrowing of intercostal space (늑골 간격이 좁아짐)
  • ⓔ juxta-phrenic peak (횡격막 근접정 - 볼륨이 줄면서 잡아 올라감)

※기출: Atelectasis(무기폐) X-ray finding의 direct, indirect sign 쓰기.

※44. Golden's S sign (inverted S sign)

▴ Large central mass(커다란 중심부 종양)로 인해 lobar ateletasis(대엽성 무기폐)가 있는 경우

Atelectasis의 오목한 경계면과 Central mass의 볼록한 경계면이 만나 Inverted S shape 을 만든다.

▴ 의의: obscured central lung malignancy (폐 악성종양) 있다고 감별 가능

※기출: Golden's S sign의 의의와 정의를 쓰시오.

'한의대 생활 > 본3 -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 - 6주차  (0) 2018.04.14
방사선 - 5주차  (0) 2018.04.10
방사선 - 4주차  (0) 2018.04.02
방사선-2주차  (2) 2018.03.28
방사선 1주차  (0) 2018.03.27

방사선-2주차

2018. 3. 28. 22:22

13. Computed tomography(CT)

- 인체의 한 단면에 X-ray를 투과시키면 각 조직들이 각자의 X-ray 흡수율에 따라 X-ray를 흡수하고 흡수되지 않은 X-ray 는 감약되어 X-ray tube 반대쪽의 detector에 검출된다.

- X-ray tube를 360도 회전시켜가면서 여러번 되풀이하여 측정된 많은 데이터를 컴퓨터를 이용해 계산하여, 인체단면 각 지점의 X-ray 흡수계수를 산출하여 영상을 만들어낸다

※14. X-ray 흡수계수

- Simple X-ray 10% 이하의 density 식별불가    <--->   CT에서는 0.5-1%의 desnsity도 차이를감별

※기출: CT number 쓰기. (보기 acute hemorrhage, cerebral medulla 등)

Hounsfield Unit(CT number)

air : -1000,  fat : -40~-100, water : 0, CSF : 0~10,
cerebral medulla : 20~30, cerebral cortex : 30~40,
acute hemorrhage : 40~60, compact bone : 1000,

15. CT angiography /Vertual colonoscopy

CT angiography  : 혈관의 3차원 영상을 만든 것

Vertual colonoscopy : 대장내시경한 것처럼, CT를 통해 대장 3차원 영상을 만든 것

* 참고 : 관상동맥이 개구하는 곳은 Aorta의 coronary opening을 통해 좌/우 관상동맥이 나옴

※16.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기출: 밑줄 빵꾸)

▴ 예전에는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이라고 불림

▴ 인체를 강력한 자장하에 눕힌 후 수소원자핵만을 공명시키는 고주파를 순간적으로 발사했다가 끊으면 수소원자핵  에서 신호가 나오는데 이 신호를 받아 컴퓨터가 영상을 만든다.EMB00000e9c6616

▴ 0.3~5 Tesla / 1T = 10,000 Gaus (좋은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2.5T 이상이 좋은데 현재 임상에서는 2.5~3.5T)

17. MRI 용어

▴ Hyper-signal 신호가 세서 하얗게 나옴 (고밀도 부위)

▴ Iso-signal 주위와 비슷한 밀도

▴ Hypo-signal 신호가 약해서 검게 나옴 (저밀도 부위)

▴ TR(repetition time) 고주파를 주고 다음에 고주파를 줄때 까지 걸린 시간

▴ TE(echo time) 고주파를 끊고 신호가 나올 때 까지 걸린 시간

▴ T1 weighted imaging(T1 강조영상) TR, TE 가 짧을수록

▴ T2 weighted imaging(T2 강조영상) TR, TE 가 길수록

***X-ray( blood->fat->air순 Lucent함) 와 CT( fat: -40~ -100의 CTNumber)와는 다르게,
    MRI에서는 Fat이 신호가 높은 Hyper-Signal이라 하얗게 보인다.
cf) 초음파에서도, X-ray/CT와 다르게 반사율이 높았다.(stone/calcificaton -> fat -> liver..)

18. Contraindication of MRI(MRI 금기증)

*** 자기장이 쎄므로(2.5T이상) , metal을 가지고 있으면 안된다.

① cardiac pacemaker : 심장박동기

② cochlear implant : 내이(귀) 안에 자성 띠는 금속으로 내이 만든 사람

③ metalic foreign body in eyeball : 안구 안에 자성 띠는 금속의 이물질

④ metalic clip in cerebral aneurysm(요즘은 자성이 없는 titanium, stainless로 바꿈, aneurysm = 동맥류, 혈관이 부푸는 것)

19. Angiography( 조영술)

Contrast media injection(조영제 투여)

ionic or non-ionic iodine compound (ionic 부작용많다. 최근엔 non-ionic만 사용.)

Arteriography(동맥조영법)

arterial phase, capillary phase, venous phase

venography(정맥조영법)

※20. Radioisotope scan(방사선 동위원소 스캔) (※기출: 밑줄 빵꾸)

방사선동위원소(radioisotope)에 특정장기의 생리적 대사에 관여하는, 특정 화학물질을 붙여 투여하여, 특정 기관내에 집적되면 여기서 나오는 γ-ray를 γ-camera로 영상화 한다.

(표시된 것이 특정화학물질)

Tc-99m-MAA : lung perfusion scan

Tc-99m-MDP(methylene diphosphnate) : bone scan

Tc-99m-sulfur coloid : liver scan

→ 쉽게 말해서, 방사선동위원소에 MMA를 붙이면 lung으로만 가게되므로 lung을 관찰 가능.

※기출: Radioisotope scan에서 bone scan에 사용하는 물질은?

※기출: 각각에 맞는 RI scan 동위원소 제제

1) lung perfusion scan → 위내용참고

2) lung ventilation scan → Xe-133: 환기주사(55번 참고)

3) bone scan → 위내용참고

4) liver scan → 위내용참고

5) PET-CT → 18F-FDG(fluoro deoxyglucose) (21번 참고)

※21. PET-CT(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 (이것도 방사선동위원소이용한 것)

▴ 18F-FDG(fluoro deoxyglucose)

▴ 암세포에서는 정상세포보다 Glucose 대사속도가 빠르다(많다). 이 증가된 glucose대사를 감지하여 영상을 얻는다.

※22. Contrast media(조영제)

: simple X-ray로는 soft tissue가 서로 구별이 안 되므로 조영제가 필요 my) 초음파는 조영제 없이 soft tissue 구별가능

negative contrast media (Radio-lucent하게 보임) : air, CO2

positive contrast media (Radio-opaque하게 보임)

황산바륨(BaSO4) - UGI(상부위장관), colon study(대장)

▴iodine compound(요오드 화합물)

ionic or non-ionic - IVP(경정맥 신우촬영술), angiography, CT

Lipiodol - lymphangiography(림프관 조영술)

※기출: negative contrast media를 쓰시오

23. Side effect of iodine compound (요오드 화합물 조영제의 부작용)

① minor reaction

pain(통증), nausea(오심), vomitting(구토), urticaria(두드러기) facial flushing or edema(안면홍조 혹은 부종)

② serious reaction

laryngeal edema(후두부종), bronchospasm(기관경련), pulmonary edema(폐부종), arrythmia(부정맥),

hypotension(저혈압), cardiovascular collapse(심혈관계 허탈)

※24. iodine compound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Test

① ocular(eyeball) test : 눈충혈

② cutaneous(interdermal) test : 피부발적

③ intravenous test : 소량의 IV 주입후 관찰

※기출: iodine compound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테스트 나열하시오.

-----------------------------------------------------------------------------

※25. 흉부 X-ray 촬영법

PA view (X-ray를 posterior→anterior 방향으로 촬영한 것. 가장 기본적인 촬영방법.)
- 팔을 열중셧 자세로 하여, scapular가 폐와 안겹치도록 빼줌

AP view (X-ray를 anterior→posterior 방향으로 촬영한 것. 환자가 서지 못할때 사용. 눕혀서 앞에서 뒤로)
- 심장이 확대되어서 보이므로, 폐를 볼때는 PA view보다 안좋다.

▴ Right or Left lateral view (필름을 측면에 붙이고 찍는 것. 병변의 확대를 위해 병변이 있는 쪽을 필름에 닿게하여 촬영. PA, AP로 보아 이상이 있을 때 사용)
- 만약 병변이, 오른쪽 폐에 있다면, 필름을 오른쪽에 붙여, 병변과 필름이 가까이에서 찍히도록 한다.

▴ Both oblique view(RPO, LPO)

: rib(늑골), pulmonary hilum(폐문), carina(기관분지부), peripheral lung lesion(말초폐실질 병변) 등을 관찰하기 위해 촬영하는 것.

-RPO : Right Posterior Oblique (신체 오른쪽을 뒤로 가게하고 촬영)- my) AP로 찍는데, 오른쪽이/뒤로가있도록/경사진 뷰

-LPO : Leftt Posterior Oblique (신체 왼쪽을 뒤로 가게하고 촬영)

Apicography(=lordotic view) : pulmonary apex 관찰

→ 전만(허리를뒤로 굽히고)시켜 찍을 경우 clavicle이 폐위로 올라가 ‘폐첨’ 관찰 용이함

Inspiration / expiration view

(정상시 inspiration하고 찍음 기관지의 직경이 커지기 때문 
expiration은 이물질이 있을 경우 air가 반대편에 비해 차있는 것을 볼 수 있음, air traffic으로 폐는 더 커지고, lucentic 해진다.)

① Bronchial mass or foreign body(기관지에 이물질 등이 있을 때)

② Small pneumothorax(기흉시에)

Right or left lateral decubitus view(환자를 측면으로 눕히고 촬영함)

① Pleural effusion(흉막삼출이 있을 때)

② Small pneumothorax(기흉시에)

→ pleural cavity에 물이나 공기가 찼을 때, 옆으로 눕혔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무거운 물은 아래로 가벼운 공기는 위로 가므로 판별가능

오른쪽 물참 : 왼쪽이 밑/오른쪽이 위로 Left Lateral decubitus View
오른쪽 기흉 : 오른쪽이 밑/왼쪽이 위로  Right Lateral decubitus View



▴ PA view시에는 pleural effusion(흉막삼출물)이 200ml 일때 발견 가능하나

Decubitus view는 25-100 ml 만 있어도 확인이 가능하다.

※기출: Inspiration - Expiration view & Right or left lateral decubitus view 로 확인 병변은?

※기출: PA view는 pleural effusion에 (200)ml가 차야 확인이 가능하지만, Decubitus view로는 (25~100)ml 정도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빵구 문제)

'한의대 생활 > 본3 -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 - 6주차  (0) 2018.04.14
방사선 - 5주차  (0) 2018.04.10
방사선 - 4주차  (0) 2018.04.02
방사선-3주차  (2) 2018.03.29
방사선 1주차  (0) 2018.03.27

방사선 1주차

2018. 3. 27. 11:23

1. 방사선 과학(radiology)의 해부학적 부위와 대상

① Thoracic R(흉부)

② musculo-skeletal(근골격)

③ gastro-intestinal(위장관)

④ uro-genital(비뇨생식기)

⑤ neuro(신경)

⑥ cardio-vascular(심혈관)

⑦ pediatric(소아)

⑧ interventional(fluoroscopy-혈관조영장비, ultrasonography-초음파장비 , CT-컴퓨터 단층촬영장비 , MRI- 자기 공명 영상 장비)(수술을 대치하는 치료적 시술)

2. Wilhelm Conrad Roentgen

- 1895년 X-ray / 1901년 노벨 물리학상

3. X-ray tube의 구조와 X-ray의 생성

- X-ray tube의 음극의 가열된 텅스텐 필라멘트에서 전자가 생성

→ 양극과 음극사이의 전압에 의해 가속화되어 양극의 표적에 충돌

→ 99%의 에너지는 열로 방출되고 1%의 에너지가 X-ray 나온다

4. Radio-lucent , Radio-opaque

- X-ray가 인체에 각 부위의 조직을 투과할 때 흡수되는 정도에 따라 구분

- (몸에) 흡수가 적으면 방사선 투과(radio-lucent) → 검은색 부분(필름에 닿는 광선량이 많다)

- (몸에) 흡수가 많으면 방사선 비투과(radio-opaque) → 흰색 부분(필름에 닿는 광선량이 적다)

my)투과되는 lucent검은색 - 몸에 흡수가 적다 / 비투과되는 opaque흰색 - 몸에 흡수가 많다.

※5. 인체의 조직별 X-ray 투과성

① 과투과성 : air

② 투과성 : fat

③ 중등도 : muscle, blood, bile(담즙), cartilage(연골), connective tissue, cholesterol gallstone(담석), uric acid stone(요산 석) (같은 색깔로 구분이 잘되지 않는다, X-ray의 한계)

④ 비투과성 : bone, calcification(석회화), stone

⑤ 과비투과성 : metal

※기출 : Radio opaque한 순서(흰->검)

metal, bone, muscle, cartilage, blood, fat, air

X-ray는 2차원이라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6. Fluoroscopy(투시)   ※기출: 투시의 정의

- 인체를 통과한 X-ray의 강약을 형광으로 변화시켜 영상증폭기로 증강시키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나타나는 것/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관찰

- UGI series(위투시), colon study(장투시), angiography(혈관조영검사), interventional procedure(중재적시술)

7. Seriography(연속촬영술) & cinefluorography(영화투시촬영술)

- 혈관, 심장처럼 빨리 움직이는 기관을 관찰할 때 사용

- 연속촬영술 : 2~6회/초(ex. 혈관), 영화투시촬영술 : 30~120회/초(ex. 심장)

※8. Ultrasonography(초음파)

- 가청영역 음파 : 20~20000Hz

- 초음파 : 20000Hz 이상의 음파

- 진단 목적의 초음파 장치에서는 3.5~15Mhz 주파수 사용 ( Mega : 100만)

-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음속의 방향성이 생기고 해상력이 증가하지만, 투과력이 줄어들어 검사할 수 있는 깊이가 얕아진다

  = abdomen, pelvis 등 : 3.5Mhz(깊은 조직)

  = Subcutaneous tissue(피하조직), muscle, thyroid, Scrotum(음낭), Salivary gland : 7.5~15Mhz(얕은조직)

※기출 (밑줄은 빵꾸문제)

- 초음파 장치의 주파수 : 3.5~15Mhz

-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음속의 방향성이 생기고 해상력이 증가하지만 투과력이 줄어들어 검사할 수 있는 깊이가 얕아진다.

9. 초음파의 원리

- Transducer에서 초음파가 발사되어 조직 속을 일정한 속도로 진행하다가 서로 소리저항이 다른 조직 간의 경계면에서 일부가 진원 쪽으로 반사된다. 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영상으로 만든다.

- 공기나 뼈를 만나면 주위(인접) 조직과 소리저항 차이가 심해 대부분의 초음파가 반사되어 그 뒤쪽은 볼 수 없다.(lung 공기, brain 뼈)

(X-ray는 전체의 두께가 다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초음파는 영상이 겹쳐지지 않아서 위치정보를 알 수 있다)

※10. 용어

① Hyper-echoic : 주위의 조직보다 많이 반사 / 하얗게 나타남

② Iso-echoic : 주위 조직과 비슷하게 나타남

③ Hypo-echoic : 주위 조직보다 반사를 덜 시킴 / 검게 나타남

④ Posterior enhancement(cyst) : water등의 무저항체를 통과하면 뒷면에 초음파량이 누적되어 Hyper-echoic하게 나타나는 것

⑤ Posterior attenuation(fatty liver) : Posterior enhancement과 반대의 경우로 후면이 hypo-echoic하게 나타난 것

⑥ Posterior acoustic shadowing(stone, air) : 반사가 100%된 후면은 까맣게 되어 전혀 표현이 되지 않는다.

※물혹(cyst)같은 경우, 후면 상향으로, 앞에서 반사한 양보다, 물혹뒤에서 반사하는 양이 너무 많아 버리니까, 상대적으로 물혹부분이 거멓게, 뒤쪽은 너무하얗게 보이게 된다.
지방간(fatty liver)같은 경우, 후면 감향으로, 앞에서 fat이 너무 반사 많이 시켜 하얗게 보이고, 상대적으로 뒤쪽의 간은 거멓게 보이게 된다.
돌(stone)이나 공기(air)는, 100%반사를 시켜버리므로, 뒤쪽은 초음파가 아예 가질 않아서 까맣게 보이게 된다.

EMB000019dc6463  EMB000019dc6464EMB000019dc6465

※기출: Posterior enhancement/ fatty liver /acoustic shadowing에 해당하는 병리병변 쓰기.

※11. Normal echogenicity(반사율이 높은 순서)

① stone, calcification ② fat ③ liver ④ spleen ⑤ renal cortex ⑥ renal medulla

⑦ fluid(bile, blood, cyst, pus)

※기출: Hyper echoic 조직부터 Hypo echoic 조직 순서로 나열하시오.

※12. 초음파의 장점 (기출: 초음파의 장점을 쓰시오.)

① 방사선 장애가 없다

② 실시간 단면영상을 얻을 수 있다

③ 여러 경사면으로 관찰할 수 있다 (axial,coronal,sagittal)

④ 연조직간 구별이 가능하다 (초음파는 물, blood, pus등을 구별하나 X-ray는 구별 못함)

⑤ 기계적으로 단순하다

⑥ 경제적이다

'한의대 생활 > 본3 -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 - 6주차  (0) 2018.04.14
방사선 - 5주차  (0) 2018.04.10
방사선 - 4주차  (0) 2018.04.02
방사선-3주차  (2) 2018.03.29
방사선-2주차  (2) 2018.03.28

원격저장소(github)
  - 가입 후 저장소를 만들고, 저장소 http를 복사해놓자
  - 소스트리에서는 Add Remote를 통해 로컬저장소에다가 원격저장소를 연결시킨다.(Remote-origin)
  - 소스트리에서 로컬저장소 내용은 Push해준다.

Clone : 새로운멤버가 프로젝트를 다운받는 것. 대신 폴더명에 작업자를 기재해준다.
  - 원격저장소(github)의 Repository의 Clone with HTTPS 주소 복사
  - 소스트리의 새 탭에 Clone - [ Url 복붙 ] + [ Destination - Browse]를 통해 로컬저장소의 <작업자명의 폴더 생성> / Open in Explorer를 통해 파일 확인

만약 같은 컴퓨터라서 Author를 다르게 지정하는 법
- git config user.name "new"
- git config user.email "new@gmail.com"

Pull : 원격저장소의 버전을 가져오는 것.
  - 작업시작하기 전 / 작업을 Push하기 전 2회에 걸쳐서 해줄 것.
  - 만약 pull안하고push해서 거절당하면, pull을 해서 병합 버전부터 만들어줘야한다.
  - 만약 pull시 충돌이 일어난다면, 충돌해결과정 [직접파일수정 -> Mark Resolved -> commit ]을 거쳐야한다.

----
기존 만들어진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상위폴더에 github 연결방법
1. 소스트리에서 상위폴더를 생성 -> github저장소 생성 -> 상위폴더에 Add Remote로 연결 -> 각 하위폴더(프로젝트들)을 안스에서 Enable VCS 적용


기존의 상위프로젝트 전체를 github 연결방법

1. 상위프로젝트 우클릭> git Bash - git init 입력 -> 소스트리에서 Add가능 -> github에 저장소 생성 후 https복사 -> 소스트리에서 remote 연결
(상단 Repository > Repository setting > remote 


git 연결해제 및 히스토리 삭제

해당 폴더의 숨김폴더 .git을 삭제하면 됨

현재까지는 로컬에서 원격저장소로 파일을 업로드하는 Push를 했었다.

하지만 새로운 멤버가 프로젝트에 참여했다고 가정해보자. 그 멤버는 원격저장소에서 로컬저장소로 다운로드해야하는 Clone(복제)을 해야한다.


원격저장소의 소스코드를 Clone하여 --> 소스트리에서 Clone Respository를 통해 새로운 로컬저장소에 다운로드 하게 된다.


새로운 멤버가 Clone하기


이 때, 현재 로컬저장소의 이름은 [operntutorials_git]이다.
새로운 협업자는 [operntutorials_new]라는 이름으로 작업을 할 것이라 가정하고 진행해보자.( _뒤에 작업자 이름을 붙힌다)
  • 소스트리에서 새로운 탭을 만들고, Clone을 선택하자.
    imageimage

  • 원격저장소의 프로젝트에서, Clone with HTTPS 을 통해 https url를 복사해온 뒤, 첫번째 칸에 붙혀넣자

    image


  • Destination Path는 원격저장소의 프로젝트를 저장할 로컬저장소의 위치이다.
    이 위치를 지정하면서, 새로운 작업자의 이름을 붙힌 폴더명으로 수정해준다.
    Browse를 눌러서, 프로젝트를 모아둔 폴더에 간 뒤, 새로운폴더[opentutorials_new]를 만들어서 저장해주자.
    image
    image


  • 원격저장소의 프로젝트를 Clone해서, 새로운작업자의 이름으로 복제하게 되었다.
    [ Open in Explorer ] 를 눌러서  Clone하여 가져온 파일들도 직접 확인해보자.
    image


소스트리의 2개의 탭에서
open~ _git 은 내가 하는 작업
open~ _new는 새로운 멤버가 하는 작업이라고 가정하고 다음을 실습해보자.


하나의 원격저장소로 두 멤버간 협업하기

하나의 원격저장소에 새로운멤버가 push를 할 경우 , 컴퓨터의 이름에 해당하는 Author가 다르게 올라간다.
지금은 하나의 컴퓨터로 작업을 하므로, Author를 터미널에서 일부러 변경해주는 작업을 해보자.
[opentutorials_new]를 선택한 상태에서 우측상단의 [Terminal]을 클릭한 뒤, 아래와 같이 입력해준다.
- git config user.name "new"
- git config user.email new@gmail.com

  • 먼저 git이라는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을 추가해보자.

    image
    image
    Push옆의 숫자는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의 버전차이다.
    타임라인을 보면, 원격저장소를 의미하는 origin/master와 버전차이가 2개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제 push를 통해 원격저장소로 올려보자.
    원격저장소의 commits에 가보면, push해준 버전이 업로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 이제 새로운멤버인 new가 작업을 시작해야한다.
    협업자는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원격저장소에 새로운 내용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야한다.
    그 때 사용하는 기능이 [ Pull ]이다. 즉,  이전에 Clone을 통해 프로젝트를 다운받아놨다하더라도,
    새로운 내용을 Pull을 통해 다운로드 해야한다.

    image
    image
    원격에 있었던, [ git이 push 버전]이,  새멤버의 프로젝트로 가져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제 new라는 새멤버가 작업을 해서 push를 해보자.
    image
    image

    push를 완료하면, 아래와 같이 원격저장소(origin/master)와 new라는 새멤버의 로컬저장소(master)가 버전이 같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 만약 git이라는 사람이,   원격저장소의 pull 없이 새로운 작업을 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상황에서 원격저장소에 push를 하게 되면,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될까?
    image
    git은 push를 거절한다.
    pull을 먼저하고 나서, push를 해야한다!
    image
    image

    이러한 상황에서는 Pull을 먼저해서, 충돌이 없다면 자동으로, 병합(merge)를 한 다음, Push를 해야한다.

  • 먼저, 빠트린 Pull을 해보자.
    원격저장소의 버전을 가져와, 로컬저장소의 버전 과 병합(merge)가 된, 새로운 버전이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그래프를 보게 되면, 원격저장소의 new가 push한 버전(분홍색) 과, git이 새로운 작업을 한 버전(파란색) 사이에, pull을 통해  자동으로 병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it이 자동으로 병합하여, 별도의 버전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원격저장소가 있고, 협업하는 개발자가 있다면, push전에 무조건 pull을 하자!

[ Pull -> ~~~~~~~~~작업~~~~~~~ -> commit -> Push직전에 Pull한번더 -> Push ]이 작업이다.




같은 부분을 수정하여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

서로 같은 부분을 다른 작업자들이 작업할 때, 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혼자 작업하는 경우에도, 실험적인 작업을 다른브랜치에서 작업하다가 같은 부분을 수정하여 충돌이 일어날 것이다.


  • 먼저 충돌을 발생시키도록 만들어보자. 같은 ul태그 속 라인에서 li를 만들어보자.
    image
    image

  • 이렇게 같은 부분(li마지막 라인)을 수정한 상태에서,
    new라는 사용자에서 먼저 push를 한다. (단, push전에는 pull을 먼저해야한다. 반드시)
    그리고, push를 하자마자, 1초만에 git이라는 사용자가 pull을 했다.

    그랬더니, Uncommited changes와 함께 느낌표의 충돌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image


  • 충돌이 일어날 땐, 직접 파일을 수정해야했다.
    git이라는 사람은 push를 하기 직전에 pull을 했을 뿐인데, 같은 부분이 수정되어 충돌이 일어난 것이다.
    image

    마찬가지로, ======위쪽의 HEAD는 git이 작업한 부분이고,
    =====아래쪽은 new라는 사람이 작업한 뒤 원격저장소에 올려놓은 코드이다.
    git입장에서는 같은 곳을 수정했기 때문에, 선택하지 않고, 사람에게 위임한 것이다.
    수정을 통해 정확한 코드만 남겼다고 가정하자.
    image


  • git이라는 사람이 직접파일을 수정하여 충돌을 해결했다면,
    Mark Resolved를 한 뒤, commit해야한다.
    commit하기 전에, Mark Resolved만 한 상태에서, 타임라인의 Graph를 먼저 살펴보자.
    image

    충돌을 해결하고 난 뒤의 Working Copy의 부모를 보자.
    파란색 부모은 원격저장소(origin/master)이고, 분홍색 부모은 로컬저장소(master)이다.

    Pull 버튼을 통해서, 2개의 버전이 병합되었고, 아직 커밋되지않은 버전이 생긴 것이다.
    하지만 같은 부분수정으로 충돌이 발생했기 때문에--> 버전이 생성안되고, Uncommitted 형태로 주어진상태다.


  • commit을 눌러서 충돌을 병합해보자.
    회색동그라미가, 버전이 생기면서 파란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 이제 Push를 통해서 원격저장소에 업로드 시켜보자.
    image


이렇게 먼저 push한 new보다는, 나중에 push한 git에게 충돌해결의 임무가 주어진다.
그리고 원격저장소와 자주 동기화해야지만, 이러한 충돌을 해소할 수 있다.

원격저장소

현재까지는 로컬저장소(내 컴퓨터)만 이용했었다.
만약 버전관리도구(git)의 사용이 어렵다면, 반드시 다른 cloud에다가 자신의 소스코드를 백업해놓기를 권장한다.
이렇게만 한다면, 버전관리는 안될 것이다.
버전관리도구를 사용하면서, 원격저장소에 자신의 코드를 역사적인 버전을 남기면서 백업해야한다.


원격저장소의 종류

네트워크상의 저장소인 원격저장소에 , 현재 사용중인 로컬저장소를 연결한다음, 백업해놓는 기능이 주 기능이다.

직접 원격저장소를 만드는 것은, 서버를 구성할 줄 모르면 쉽지 않다.

그래서 사용하는 것이 github등의 git 서비스이다.
깃헙(github)의 경우에는, 공개버전이 아니라면 어느정도 돈을 내야한다.
깃랩(gitlab)의 경우에는, 깃헙을 벤치마킹 한 것으로, 자신의서버에 설치가능한 오픈소스였으나, 깃헙처럼 서비스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 깃랩은 특이하게,, 깃헙에서 깃랩을 사용안내하고 있다..


깃헙을 이용해서 원격저장소 만들고 로컬저장소를 연결하기

github에서 아이디를 만들어 준비를 한다

  • 먼저, repository를 public으로 만든다. repository명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젝트 폴더와 동일하게 만들어보자.
    image

  • 만들어서 나오는 상단의 HTTPS/SSH 는 방금 만든 원격저장소의 URL같은 것이다.
    그 아래 나오는 명령어들은 명령어기반으로 원격저장소에 로컬저장소를 세팅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GUI환경에서 사용하므로 일단 보류한다.
    image


현재까지는 로컬저장소에서 고립된 상태에서 작업을 해왔다.
이제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를 연결 후 업로드 해야한다.

원격저장소는 Remote Repository라고 한다. 이제 소스트리로 돌아와서, 원격저장소를 연결해보자.

  • 소스트리로 돌아와, 상단 메뉴 중 [ Repository - Add Remote... ] 로 진입해보자.
    (이미 원격저장소가 추가되어있다면 Repository - Repository Settings에서 수정할 수 있다)
    image
    image


    Add버튼을 눌러서 원격저장소를 추가해주자.

    image

    이제 깃헙의 만든 레퍼지토리의 HTTPS주소를 복사한 뒤,  URL/ PATH 칸에 붙혀넣자.
    이 때, 기본 원격저장소로 설정하기 위해서 Default remote도 체크해주자.
    image


  • 소스트리의 왼쪽메뉴 Remotes를 보면, 우리가 추가해준 원격저장소의 remote name인 orgin이 등장하게 된다.
    image

    origin은 우리가 추가해준 원격저장소의 별명같은 것이다.
    상단 Repository - Repository settings에 들어가보면 확인할 수 있다.
    image

    여기까지만 하면, 로컬저장소 - 원격저장소는 연결만 된 상태다.
    즉, 아직 동기화= 업로드하기 전 상태다.


  • 로컬저장소 --> 원격저장소 로 밀어내는 행위가 바로 Push이다.
    상단 버튼중 Push버튼을 클릭해보자.
    image


    Push할 원격저장소의 별명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업로드)하고 싶은 로컬저장소의 여러 Branch를 선택할 수 있다.
    실험적인 업무를 노출하고 싶지 않다면, master 브랜치만 선택해준다.

    image

    image


  • 깃허브로 돌아가 Reload를 해보자.
    연결된 로컬저장소로부터 push된 소스코드가 업로드되어, 코드가 나와있다.
    우리가 수정한 README.md의 내용이 메인설명으로 나온다.
    image

    Commits 메뉴를 선택해보면, 로컬저장소에서 작업했던 버전들이 확인이 된다.
    image


여기까지만 하면, 로컬저장소가 고장나더라도, 원격저장소에서 받을 수 있고 버전도 확인할 수 있다.
백업으로서의 의미가 가장 크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제 로컬의 파일을 수정 후, 버전을 만든 뒤 ---> 원격저장소로 업로드 해보자.

  • 파일을 수정 후, 로컬에서 commit하자.
    image


    그랬더니, 소스트리에서는 Push버튼에 1이라는 표시가 나타나있다.
    이것은 로컬저장소와 원격저장소간에 1개의 버전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타임라인master는 로컬저장소의 최신버전을 <--> origin(별명)/master는 원격저장소의 최신버전을 의미한다
    image

  • 하나의 버전을 더 commit해보자.
    원격저장소에서는 아직 2개의 버전이 업로드 되지 않았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image

    이제 2가지 버전을 추가한 프로젝트를 Push해보자.
    로컬의 master와 원격의 origin/master가 같은 버전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브랜치 : 실험적인 수정이 필요할 때, 프로젝트를 2개로 복사한 것같은 효과를 내어, 실험적인 수정작업을 한 뒤, master에 병합하기 위함
  - 병합 : master를-> 실험으로 주기적으로 병합해주다가, 실험작업이 완료되면, 실험->master로 병합 or 실험 브랜치를 포기한다.
  - 충돌 : 병합시 충돌상황에서는
     (1)충돌난 파일직접수정 ->
     (2)Git에서는 우클릭 - Resolve Conflicts - Mark resolved ->
     (3)commit을 통해 병합버전을 완료한다

image

브랜치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마스터브랜치와 실험브랜치를 병합하는데 있다.

실험브랜치에서 만든 변경점들을--->  master브랜치에다가 병합merge하는 것이 목표이다.

image


브랜치 병합하기( 실험--> master로)

  • master에다가 병합하기 위해선, 먼저 master브랜치라는 받는 쪽 branch를 선택한 상태여야한다.
    이것을 master브랜치로 checkout했다 라고 한다.
  • 이제 [실험] branch에서 우클릭하여, current branch(체크아웃되어있는 matser브랜치)로 병합해보자.

    image

    나는 merge했더니, conflicts가 발생했다.
    image

    working copy로 가서, index.html을 commit 해주니까 merge된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age
    위와 같이 Merge brach '실험'으로서, 실험branch를 master에  merge했다.

  • 해당버전의 수정내용을 살펴보자.
    실험branch에서 실험적인 업무로서 했던, < head태그추가 > + <title태그추가> 부분이 +초록색으로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image


  • 파일을 보면, master브랜치의 일상적인 업무<ul,  li태그 추가> 와 실험 브랜치의 실험적인 업무<head, title태그 추가>가 한 파일에 합쳐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같은 부모인 <h1태그 추가>에서 시작한 것을 유념해두자.


브랜치 병합에 있어서 충돌(Conflict) 해결하고 최소화 하기

브랜치를 통해서, 해당시점에서 마치 프로젝트를 복붙하여 2개처럼, 일상적인 업무 <--> 실험적인 업무를 나누어서, 병합으로 합쳤다.
하지만, 두 branch에서 같은 곳을 수정하게 되면, 충돌(conflict)가 일어난다.

*** 어떤 항목에 대해, 각 브랜치가 하나는 위쪽을 하나는 아래쪽을 따로따로 수정했다면 git은 충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 성공적으로 병합이 끝난 실험branch는 우클릭으로 삭제해도 된다.

  • 이전시간까지 병합이 완료된 master브랜치에서 새로운 브랜치 [ 실험2 ] 를 만들어보자.
    브랜치를 만들 때, 항상 그 시점의 버전을 확인하자.  Merge branch'실험' 버전에서 실험2브랜치를 추가하였다.
    image

  • 실험2 브랜치에서, li태그를 하나 더 추가한 뒤, commit해주자.
    image

    이번에는 master브랜치에서 똑같은 위치에 li태그(다른이름)으로 추가해보자.

    image

  • 이제 master브랜치에 병합해보자.
    받을 쪽인 master브랜치로 checkout하고,  실험2 브랜치에서 우클릭> merge해준다.
    아래와 같은 경고창이 뜬다.
    image

    충돌한 이유는 , 하나의 파일안에서 2개의 브랜치가 같은위치의 내용을 수정했기 때문이다.
    git의 입장에서는 누구의 코드를 우선할지 모르니까, conflict를 낸 뒤, 사람에게 처리를 위임한다.


  • 이제 병합시 conflict가 난 파일로 가보자
    <<< HEAD  와 ===== 와  >>>> 실험2로 나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를 기준으로 위쪽 HEAD는 현재 선택된 branch 즉, master 브랜치에서 수정한 내용이고,
    =====기준 아래쪽은, 적혀있는 실험2 브랜치에서 수정된 내용이다.
    image

    만약 다 필요한 코드이면,  주석같은 << ==== >>>를 다 제거해주고 저장한다.


  • 이제 소스트리의 Log/History의 Uncommited changes를 살펴보자.
    [ 느낌표모양의 주황색 삼각형 ] 아이콘이 있다. 이 것은 conflict가 났으니, 코드를 보고 판단해달라는 내용이다.
    image\


  • 충돌이 난 파일에서  [ 우클릭 - Resolved Conflicts - Mark Resolved]를 통해서,
    충돌이 난 상황을 << === >>> 수정을 통해서 해결했다고 git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느낌표 삼각형] --> [ 연필 네모]로 바뀌면서, Stage로 자동으로 올라온다. 아직, 병합이 완료되진 않는다.

    image
    image


  • 이 상태에서, commit버튼을 눌러보자.  자동으로 충돌난 내용을 해결했다는 문구가 적혀져있다.
    즉, 실험2내용을 master브랜치에 병합해왔다는 내용과 함께, index.html의 충돌을 일어났었다는 정보를 자동기재해준다.
    image


  • 충돌내용 수정 후,  Mark해주고, commit을 끝내니,  병합된 git(소스트리)의 버전이 새로 생김을 알 수 있다.
    image




충돌을 최소화하는 방법

실험브랜치에서 6개월간의 수정작업 끝에, master브랜치와의 병합하게 된다면,,, 그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이것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실험 브랜치에다가 master브랜치를 끊임없이 동기화하는 것이다.

  • 다시한번, [실험3]라는 브랜치를 만들고, master브랜치로 와서 내용을 수정해보자.
    master브랜치에서 li 충돌이라는 태그를 추가하고 commit한다.
    image


  • 이제 다시, [실험3]브랜치로 와보자. master브랜치에서 추가한 충돌이라는 li태그가 없는 상태일 것이다.

    image

    [실험3]라는 실험적인 branch언젠가는 master브랜치에 병합되어야한다.
    언젠가는 될것이므로,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master브랜치의 내용을----주기적으로---> 실험3 branch에 가져다놓자.
    즉, 실험3 브랜치를 checkout한 상태에서, master브랜치 우클릭 - merge를 해준다.
    master브랜치에서 수정한 li충돌 태그가 실험3에 병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 실험3branch에서 다른 작업을 해보자. li충돌해결을 추가하고 커밋해주자.
    master branch에서도 li원격저장소 태그를 추가하고 커밋해주자.
    image

  • master와 실험적인 branch 각각에서 작업을 해준 다음,  실험3에서 또다른 작업을 시작할 타이밍이다.
    이때, master의 내용을 가져와서 실험3에 병합해주자.
    같은 곳을 수정하였으니, conflict가 날 것이다.
    위에서 했던 것 처럼 [ 파일에서 conflict해결후 저장  =>  merge받는 곳에서 Mark Resolved => commit ]을 통해 병합을 완료하자.
    image
    image
    image

    *** 이 때, Resolve Conflics  메뉴의 Reslove Using 'Mine' / 'Theirs'는 (직접 파일 수정 없이)
    checkout되어 병합받는쪽(실험3)을 채택 / 병합되는 쪽 (master)을 채택할 수 있다.
    직접 파일을 보고 수정한다면, Mark resolved를 하면 된다.
    이렇게 master의 수정내용을 계속해서 받아들이면서, 실험3의 작업을 계속 이어가게 되면, 충돌이 최소화 될것이다.

  • 이제 실험3에서 하나의 작업만 더 해준 뒤,  master에 최종병합시켜보자.
    실험3 브랜치에서 meta태그를 하나 추가시켜준다.
    image

    master브랜치를 체크아웃한 뒤, 실험3브랜치를 merge해보자.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바로 병합이 된다.
    [ 충돌파일 수정 -> Mark Resolved -> commit]의 과정없이 바로 병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이러한 방식으로 한다면,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더 작은 충돌이 발생할 것이다.
    image
    master의 입장에서는 한번도 실험3가 존재하지 않았다.
    만약 실험3의 브랜치가 drop되어 폐기되었다면, 그냥 삭제해주면 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 최소한의 충돌로 master로 병합해주면 된다.

브랜치를 사용하는 이유

우리가 진행중인 프로젝트(opentutorials_git)를 하면서 동시에, 불확실하고 실험적인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만약 브랜치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실험적인 작업이 취소되었을 때, 이전버전으로 돌아가도 되지만, 그 부분만 도려내야하는데, 쉽지않다.

폴더를 복사해서 실험적인 작업을 진행할 수 있지만, 완료되었을 때, 원본에 붙혀넣기가 쉽지않다.

이 때, 우리는 브랜치를 사용할 수 있다.
브랜치를 통해서, 마치 2개의 폴더로 나눈 뒤, 각각 따로 작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면서 동시에 작업 완료후 실험적인 작업에서 변경된 내용을 원본소스에 간편하게 병합해줄 수 있다.


브랜치 만들기

index.html 파일에 대해, 일상적인 업무실험적인 업무가 있다고 치자.

일상적인 업무는 html코드에 ul태그를 넣는 것.
실험적인 업무는 head태그를 넣는것이라고 가정하자.

우리는 브랜치를 이용해서,
마치 프로젝트폴더를 2개로 복사한 다음, 하나의 프로젝트에서는 ul태그를, 다른 하나의 프로젝트에서는 head태그를 넣는 것처럼 사용해보자.

좌측메뉴의 Branches에는 master라는 현재 브랜치가 표시되어있다.
(기존 default로 만들어진 브랜치 이름이 master일뿐 바꿀 수 있다.)

  • 브랜치를 만들어보자.
    상단의 [ Branch ] 버튼을 누른 뒤, <실험>이라는 New Branch를 만들어보자.
    image
    image
    image

  • master인 상태에서, ul태그만 추가해서 commit해주자.
    image

    이제 ul태그안에 li태그를 추가해서 하나마다 버전을 나누어서 commit해주자.
    image


    위 그림을 보면, 실험branch는 뒤쳐져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제 [실험]브랜치를 더블클릭해보자. 이 때, 타임라인의 실험브랜치가 적힌 버전을 확인해주자.
    index.html파일를 확인해보자. ul태그랑 li태그가 사라져있다.

    image

  • 이제 이 상태에서, 실험적인 업무인 head태그를 넣어주고, commit해보자.

    image
    image

    타임라인의 그래프를 보자.
    [master]에서 commit한 3개의 버전은 분홍색으로 가고 있다.
    [실험]에서는 해당 버전의 프로젝트(h1태그 추가)로 돌아간 다음 --> head태그 추가 버전으로 파란색으로 가고 있다.
    *** (실험)head태그추가 와 (master) ul태그 추가의  부모는  둘다 동일하게   h1태그 추가인 것을 확인해두자.
    *** 추가한 브랜치 수만큼, [ 만들어준 시점에서 프로젝트를 복사해둔 효과 ] 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y) 실제 윈도우 폴더에서 접근했을 때, 같은 파일이라도, 소스트리의 브랜치 선택상태에 따라 다른상태로 열린다.
    image
    image


  • 서브라임텍스트에서도 브랜치를 바꿀때마다, 같은파일의 내용이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age
    image

1. 기술통계
  - 세팅 : 파일 - 옵션 - 추가기능 - 분석도구 - Execel추가기능 : 이동 - 분석도구
  - 사용 : [ 데이터-분석-데이터분석 ] -> 기술통계법 -> 입력/출력범위 선택후 [요약통계량] 체크


2. 부분합
  - 세팅 : 기준열 이름을 선택한 상태에서, 기준열을 오름/내림차순 정렬으로 그룹화(선행작업)
  - 사용 : 셀하나만 선택한 상태에서, [데이터-개요-부분합] -> 그룹화할 항목에 기준열 선택후, 함수/계산항목 선택
  - 이후 윤곽선 조절 및 ctrl+8로 조절


3. 피벗테이블-차트
  - 세팅 : 셀 하나만 선택한 상태에서, [삽입 - 표 - 피벗테이블]알아서 범위가 잡힌다.
  - 사용 : 보통은 [새 워크시트]에 생성하도록 한다. 행/열레이블에 드래그를 통해서 index/columns를 만든다.
       값 레이블에는 함수를 적용할 숫자데이터만 드래그해준다. default는 합계함수가 적용된다.
  - 수정 : [피벗테이블도구 - 분석 - 활성필드 - 필드설정]에서 집계함수와 표시형식을 수정할 수 있다.
            [피벗테이블도구 - 디자인 - 활성필드 - 필드설정]에서 부분합/총합계/보고서 레이아웃을 수정할 수 있다.
  - 차트 : [피벗테이블도구 - 분석- 도구 - 피벗차트]를 선택해서 원하는 차트를 고르면 된다-> 필터도 적용되어있다.

간단하게 기술통계 구하기

강의10_예제.xlsx

기술통계를 구하려면 데이터 분석도구를 추가해야한다.

1. 파일->  옵션 -> 추가기능 -> 관리 : EXCEL추가기능 : 이동 -> 분석도구 를 클릭하면, 데이터탭에 [분석- 데이터분석]이 추가된다.

2. 데이터분석을 눌러서 [기술통계법]을 클릭하면 된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기술 통계의 [입력범위]는 열이름을 포함하지않고, 통계를 내고 싶은 숫자데이터만 클릭을 한다.
출력옵션은, 현재시트 중 선택하든지, 새로운 워크시트에 추가하면된다.
통계량을 확인하기 위해선, [요약 통계량]을 체크해줘야한다.
image
image



부분합으로 그룹집계보기

부분합은,
1. 선행작업으로 그룹화할 열을 먼저 오름OR내림차순으로 정렬 한다.
2. [데이터 - 윤곽선탭 - 부분합]을 적용한다.
3. 순서대로 그룹화할 열/ 집계함수/ 연산할데이터를 선택해준다.
4. 나타나는 왼쪽의 윤곽선은 Ctrl+8로 조정할 수 있다.

image
image


부분합 실습

1. 그룹화할 열(근무팀)을 정렬해줘야한다.(묶어져있어야한다)
- 열이름을 클릭한 상태에서, 데이터- 정렬및 필터탭- 오름차순을 선택해준다.

image

2.셀 하나만 선택해놓고,  데이터- 윤곽선탭(개요 탭) - 부분합을 선택한 뒤, 방금 정렬했던 열을 그룹화할 항목(그룹화 기준열)으로 넣어주고, 함수, 계산항목도 넣어준다.
(셀 하나만 선택해도, 열이름 포함 전체데이터가 잡힌다)
image

근무팀을 기준열로 그룹화한 뒤, 기본급/식대/교통비의 합계를 요약으로 볼 수 있다.
image

윤곽선을 통해 번호를 선택하면 , 총합계/ 그룹별 합계 / 전체데이터와 합계의 요약을 볼 수 있다.
image
image
image


윤곽선을 숨기고 싶다면 [ctrl+8]을 통해 조절하면 된다.
image



피벗테이블로 그룹 집계표 만들기

1. [삽입] - [피벗테이블]에 위치해있다.  클릭하여 피벗테이블을 만들면, 필드를 배치하도록 해준다.

2. 각 열들을 필드라 부르는데, 필요한 곳에 드래그를 통해서 내려놓으면 된다.
- 반대로 드래그하면 제거가 된다.

3. 피벗테이블을 만들면, 자동필터가 자동으로 적용된다.

4. 피벗테이블은 3가지를 수정할 수 있다. 집계함수 / 표시형식 / 레이아웃 수정

image

image


실습 - 피벗테이블

셀하나를 누른상태에서, [삽입]-[표]-[피벗테이블]을 만들면, 알아서 범위를 잡아준다.
새 워크시트에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image

오른쪽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드목록을 확인하고, 드래그하면된다.

image


행/열 레이블에는, 그룹화의 기준이 될 필드를 / 값 레이블에는 연산이 가능한 필드가 내려와야한다.
제거하고 싶다면 반대로 드래그해주면 된다.
집계함수가 default로 합계가 지정되어있다. 나중에 수정할 수 있다.
image

기본급을 2개 내려놔도 괜찮다.
image


하나는 합계:기본급이 아니라 평균:기본급으로 집계함수를 하나만 바꾸어보자.

바꿀 집계함수의 셀을 하나 클릭한 뒤, 피벗테이블의 [분석/디자인] 중 [분석]탭에서 [ 활성필드 - 필드설정]을 클릭한다.

image


[ 요약기준]탭에서 합계를 [평균]으로 바꾸면 된다.
image
image


이제 보이는 방식을 바꿔주기 위해서, 집계함수를 바꿔주는 것과 동일하게
[피벗테이블-분석- 필드설정] - [표시형식]을 눌러서 수정해준다.
값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해서, 회계를 선택하고, 소수점자리를 0으로 수정해주자.

image
image
image

합계도 동일하게 바꿔주자.


이제 행레이블을 추가해주자. 근무팀아래에 직위를 드래그하여 <근무팀별 직위에 따른> 기본급의 합계/ 평균이 나올 것이다.

image


이제 [피벗테이블도구 - 디자인]탭을 알아보자.

먼저, 부분합 탭에서는 부분합을 표시할 것인지, 위/아래에 표시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image

총합계도 마찬가지다.

보고서 레이아웃에서도, 압축/개요/테이블 형식을 지정할 수 있다.
image


피벗테이블을 피벗차트로 연결해서 집계정보 시각화하기

피벗테이블의 한 데이터 셀 선택 -> [피벗테이블 도구- 분석 - 도구- 피벗차트]를 선택-> 원하는 차트를 선택
image
image
image


피벗차트의 장점은, 차트자체로 필터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image
image

조건식의 유형

1. 셀조건 : 해당열이름과 그에 대한 조건을 셀에 직접 적어놓는다(데이터범위와 조건선택시 항상 열이름까지 포함시켜준다.)
  (1) 고급필터 : 열이름을 포함한 데이터, 셀조건을 선택해서 새로운 데이터로 필터링할 수 있다.
  (2) D계열 함수 : =DSUM(열이름을 포함한 데이터범위,  "조건에따라 합을 구할 열이름", 열이름 포함 셀조건)이 들어간다.
     =DSUM(A3:G38, "기본급",Criteria)

***셀조건에서 조건에 함수식을 포함할 경우 조건적는 법 : ="조건부호"& 함수식()
---조건연산자는 ""쌍따옴표로 묶고 함수식은 &로 연결해준다.

2. 조건식을 넣는 함수/기능들(데이터 선택시, 열이름 빼고 선택한다)
  (1) IF함수의 첫번째 인자
  (2) 조건부서식 - [수식을 사용하여 서식을 지정할 셀 결정] : =()안에 첫셀(첫행)기준으로 $열만 고정시켜놓고 조건식 작성
     =($E4<1000000)

3. 조건범위와 조건을 나누어 넣는 함수
  (1) COUNTIF 외 ~IF/~IFS함수들 ( 조건범위, "조건")
     =COUNTIF(E4:E38, ">2000000")

4. 다중조건을 이용하는 방법
(1) 셀조건 : 조건을 줄 열이름과 셀조건을 가로배치=AND / 세로배치 = OR연산
(2) 조건식을 넣는 함수/기능들(IF함수, 조건부서식) : =AND( 조건식1, 조건식2) / =OR( , ) / =NOT( , )

5. IFERROR( 계산식, "오류났을때의 표시값")
  - 오류는 나누기0이 되게해서 오류를 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