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선택한버전은 취소한 뒤 남겨두고, 직전버전으로 돌아가는 Revert(Reverse)
2018. 3. 16. 23:01
git의 Revert = 소스트리의 Reverse commit 을 이용하여, 취소할 버전을 남겨두고 직전버전으로 돌아가자.
Reset은 선택버전 이후의 버전들은 모두 삭제하고, 선택한 버전으로 돌아간다. 파일유지만 Hard(삭제)/Mixed(유지)로 결정해준다.
Revert는 취소할 선택버전을 남겨둔 체, 그 직전버전을 [ Revert + 취소버전]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준다.
(즉, Revert 버전 = 그 버전의 이전 버전으로 돌아간다.)
타임라인에서 취소할 버전을 선택한 뒤, 우클릭 > [Reverse Commit] 을 통해, 직전 버전을 새로운 이름[Revert 취소버전]으로 만들어준다.
이름은 [ Revert 취소한 버전 ]이지만, 취소버전의 직전버전[body태그 추가]으로 돌아간 상태라,
수정해준 index.html이 다시 돌아가고, 추가해준 README.md가 삭제되었다.
만약, 더 이전버전으로 돌아가고 싶다면, 최신버전부터 -> 취소할 버전까지, 순차적으로 계속 revert를 해줘야한다.
예를 들어서, 아래의 상태에서, html태그 추가 버전까지 다 취소하고 싶다면,
[reset-mixed] revert -> [body태그 추가] revert -> [ html태그 추가] revert 후, ===> index.html버전에 도착하게 된다.
해석을 하자면 ) Revert "특정버전" ---> 특정버전하기 전으로 돌아갔구나!
[html태그를 추가]하기 전으로 돌아갔구나!
만약 순차적으로 revert안한다면,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개발공통 > Git과 SourceTr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브랜치 소개 / 만들어보기 (0) | 2018.03.24 |
---|---|
참고 : 되돌리기 4개 (Discard/ Reset - Hard/Mixed / Revert(Reverse) 정리 (0) | 2018.03.20 |
6. 이미 commit했었던, 지난버전으로 되돌리기(Reset - Hard/Mixed) (0) | 2018.03.16 |
5. commit전, 현재 수정사항 취소 후 가장 최신버전으로 되돌리기(discard) (0) | 2018.03.16 |
4. git 용어 익히기(WorkingCopy, Add, Index=staging area, Repository) (0) | 2018.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