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2주차
13. Computed tomography(CT)
- 인체의 한 단면에 X-ray를 투과시키면 각 조직들이 각자의 X-ray 흡수율에 따라 X-ray를 흡수하고 흡수되지 않은 X-ray 는 감약되어 X-ray tube 반대쪽의 detector에 검출된다.
- X-ray tube를 360도 회전시켜가면서 여러번 되풀이하여 측정된 많은 데이터를 컴퓨터를 이용해 계산하여, 인체단면 각 지점의 X-ray 흡수계수를 산출하여 영상을 만들어낸다
※14. X-ray 흡수계수
- Simple X-ray 10% 이하의 density 식별불가 <---> CT에서는 0.5-1%의 desnsity도 차이를감별
※기출: CT number 쓰기. (보기 acute hemorrhage, cerebral medulla 등)
Hounsfield Unit(CT number)
air : -1000, fat : -40~-100, water : 0, CSF : 0~10,
cerebral medulla : 20~30, cerebral cortex : 30~40, acute hemorrhage : 40~60, compact bone : 1000,
15. CT angiography /Vertual colonoscopy
CT angiography : 혈관의 3차원 영상을 만든 것
Vertual colonoscopy : 대장내시경한 것처럼, CT를 통해 대장 3차원 영상을 만든 것
* 참고 : 관상동맥이 개구하는 곳은 Aorta의 coronary opening을 통해 좌/우 관상동맥이 나옴
※16.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기출: 밑줄 빵꾸)
▴ 예전에는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이라고 불림
▴ 인체를 강력한 자장하에 눕힌 후 수소원자핵만을 공명시키는 고주파를 순간적으로 발사했다가 끊으면 수소원자핵 에서 신호가 나오는데 이 신호를 받아 컴퓨터가 영상을 만든다.
▴ 0.3~5 Tesla / 1T = 10,000 Gaus (좋은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2.5T 이상이 좋은데 현재 임상에서는 2.5~3.5T)
17. MRI 용어
▴ Hyper-signal 신호가 세서 하얗게 나옴 (고밀도 부위)
▴ Iso-signal 주위와 비슷한 밀도
▴ Hypo-signal 신호가 약해서 검게 나옴 (저밀도 부위)
▴ TR(repetition time) 고주파를 주고 다음에 고주파를 줄때 까지 걸린 시간
▴ TE(echo time) 고주파를 끊고 신호가 나올 때 까지 걸린 시간
▴ T1 weighted imaging(T1 강조영상) TR, TE 가 짧을수록
▴ T2 weighted imaging(T2 강조영상) TR, TE 가 길수록
***X-ray( blood->fat->air순 Lucent함) 와 CT( fat: -40~ -100의 CTNumber)와는 다르게,
MRI에서는 Fat이 신호가 높은 Hyper-Signal이라 하얗게 보인다.
cf) 초음파에서도, X-ray/CT와 다르게 반사율이 높았다.(stone/calcificaton -> fat -> liver..)
18. Contraindication of MRI(MRI 금기증)
*** 자기장이 쎄므로(2.5T이상) , metal을 가지고 있으면 안된다.
① cardiac pacemaker : 심장박동기
② cochlear implant : 내이(귀) 안에 자성 띠는 금속으로 내이 만든 사람
③ metalic foreign body in eyeball : 안구 안에 자성 띠는 금속의 이물질
④ metalic clip in cerebral aneurysm(요즘은 자성이 없는 titanium, stainless로 바꿈, aneurysm = 동맥류, 혈관이 부푸는 것)
19. Angiography( 조영술)
▴ Contrast media injection(조영제 투여)
ionic or non-ionic iodine compound (ionic 부작용많다. 최근엔 non-ionic만 사용.)
▴ Arteriography(동맥조영법)
arterial phase, capillary phase, venous phase
▴ venography(정맥조영법)
※20. Radioisotope scan(방사선 동위원소 스캔) (※기출: 밑줄 빵꾸)
방사선동위원소(radioisotope)에 특정장기의 생리적 대사에 관여하는, 특정 화학물질을 붙여 투여하여, 특정 기관내에 집적되면 여기서 나오는 γ-ray를 γ-camera로 영상화 한다.
(표시된 것이 특정화학물질)
Tc-99m-MAA : lung perfusion scan
Tc-99m-MDP(methylene diphosphnate) : bone scan
Tc-99m-sulfur coloid : liver scan
→ 쉽게 말해서, 방사선동위원소에 MMA를 붙이면 lung으로만 가게되므로 lung을 관찰 가능.
※기출: Radioisotope scan에서 bone scan에 사용하는 물질은?
※기출: 각각에 맞는 RI scan 동위원소 제제
1) lung perfusion scan → 위내용참고
2) lung ventilation scan → Xe-133: 환기주사(55번 참고)
3) bone scan → 위내용참고
4) liver scan → 위내용참고
5) PET-CT → 18F-FDG(fluoro deoxyglucose) (21번 참고)
※21. PET-CT(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 (이것도 방사선동위원소이용한 것)
▴ 18F-FDG(fluoro deoxyglucose)
▴ 암세포에서는 정상세포보다 Glucose 대사속도가 빠르다(많다). 이 증가된 glucose대사를 감지하여 영상을 얻는다.
※22. Contrast media(조영제)
: simple X-ray로는 soft tissue가 서로 구별이 안 되므로 조영제가 필요 my) 초음파는 조영제 없이 soft tissue 구별가능
① negative contrast media (Radio-lucent하게 보임) : air, CO2
② positive contrast media (Radio-opaque하게 보임)
▴황산바륨(BaSO4) - UGI(상부위장관), colon study(대장)
▴iodine compound(요오드 화합물)
ionic or non-ionic - IVP(경정맥 신우촬영술), angiography, CT
▴Lipiodol - lymphangiography(림프관 조영술)
※기출: negative contrast media를 쓰시오
23. Side effect of iodine compound (요오드 화합물 조영제의 부작용)
① minor reaction
pain(통증), nausea(오심), vomitting(구토), urticaria(두드러기) facial flushing or edema(안면홍조 혹은 부종)
② serious reaction
laryngeal edema(후두부종), bronchospasm(기관경련), pulmonary edema(폐부종), arrythmia(부정맥),
hypotension(저혈압), cardiovascular collapse(심혈관계 허탈)
※24. iodine compound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Test
① ocular(eyeball) test : 눈충혈
② cutaneous(interdermal) test : 피부발적
③ intravenous test : 소량의 IV 주입후 관찰
※기출: iodine compound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테스트 나열하시오.
-----------------------------------------------------------------------------
※25. 흉부 X-ray 촬영법
▴ PA view (X-ray를 posterior→anterior 방향으로 촬영한 것. 가장 기본적인 촬영방법.)
- 팔을 열중셧 자세로 하여, scapular가 폐와 안겹치도록 빼줌
▴ AP view (X-ray를 anterior→posterior 방향으로 촬영한 것. 환자가 서지 못할때 사용. 눕혀서 앞에서 뒤로)
- 심장이 확대되어서 보이므로, 폐를 볼때는 PA view보다 안좋다.
▴ Right or Left lateral view (필름을 측면에 붙이고 찍는 것. 병변의 확대를 위해 병변이 있는 쪽을 필름에 닿게하여 촬영. PA, AP로 보아 이상이 있을 때 사용)
- 만약 병변이, 오른쪽 폐에 있다면, 필름을 오른쪽에 붙여, 병변과 필름이 가까이에서 찍히도록 한다.
▴ Both oblique view(RPO, LPO)
: rib(늑골), pulmonary hilum(폐문), carina(기관분지부), peripheral lung lesion(말초폐실질 병변) 등을 관찰하기 위해 촬영하는 것.
-RPO : Right Posterior Oblique (신체 오른쪽을 뒤로 가게하고 촬영)- my) AP로 찍는데, 오른쪽이/뒤로가있도록/경사진 뷰
-LPO : Leftt Posterior Oblique (신체 왼쪽을 뒤로 가게하고 촬영)
▴ Apicography(=lordotic view) : pulmonary apex 관찰
→ 전만(허리를뒤로 굽히고)시켜 찍을 경우 clavicle이 폐위로 올라가 ‘폐첨’ 관찰 용이함
▴ Inspiration / expiration view
(정상시 inspiration하고 찍음 기관지의 직경이 커지기 때문
expiration은 이물질이 있을 경우 air가 반대편에 비해 차있는 것을 볼 수 있음, air traffic으로 폐는 더 커지고, lucentic 해진다.)
① Bronchial mass or foreign body(기관지에 이물질 등이 있을 때)
② Small pneumothorax(기흉시에)
▴ Right or left lateral decubitus view(환자를 측면으로 눕히고 촬영함)
① Pleural effusion(흉막삼출이 있을 때)
② Small pneumothorax(기흉시에)
→ pleural cavity에 물이나 공기가 찼을 때, 옆으로 눕혔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무거운 물은 아래로 가벼운 공기는 위로 가므로 판별가능
→ 오른쪽 물참 : 왼쪽이 밑/오른쪽이 위로 Left Lateral decubitus View
→ 오른쪽 기흉 : 오른쪽이 밑/왼쪽이 위로 Right Lateral decubitus View
▴ PA view시에는 pleural effusion(흉막삼출물)이 200ml 일때 발견 가능하나
Decubitus view는 25-100 ml 만 있어도 확인이 가능하다.
※기출: Inspiration - Expiration view & Right or left lateral decubitus view 로 확인 병변은?
※기출: PA view는 pleural effusion에 (200)ml가 차야 확인이 가능하지만, Decubitus view로는 (25~100)ml 정도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빵구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