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대 생활
- 2018. 6. 2. 나주 나주곰탕 하얀집 2018.06.28
- 2018. 5. 27 나주 유선추어탕 2018.06.28
- 방사선 - 10주차 (시험범위만 학습) 2018.06.05
- 2018. 5. 27 나주 장어집 구진포 제일장어 2018.05.29
- 2018. 5. 25 나주 중국집 연경(짬뽕밥+탕수육) 2018.05.29
- 2018. 5. 18 나주 삼겹살집 숭이네 2018.05.29
- 2018. 5. 15 나주 초밥집 라쿠 2018.05.29
- 방사선 - 9주차 2018.05.25
- 방사선 - 8주차 2018.05.15
- 방사선 - 7주차 2018.05.12
- 2018. 5. 9 나주 돌박사(황태떡국) 2018.05.10
- 2018. 5. 7 나주 영산포 부산식당 2018.05.10
- 2018. 5. 6 나주혁신 가내수공업( 쭈꾸미 + 고르곤졸라 피자 ) 2018.05.10
- 2018. 5. 2 나주 보리밥 집 해밀보리밥 2018.05.02
- 2018. 5. 1 나주 청국장 & 보쌈집 메주愛꽃 2018.05.02
2018. 6. 2. 나주 나주곰탕 하얀집
가는 길
동신대에서 나주시내쪽으로 차량 10분 정도 거리
곰탕거리에 여러 곰탕집이 있지만, 이집이 가장 원조이면서 사람들이 많은 곳이다.
아무래도 tv노출도 많이 되고,, 대부분 이 집을 가는 것이 정석이다.
가격은 9천원에,, 깍두기 외 1가지 반찬이 기본으로 나온다. 가끔씩 수육도 조그맣게 나오는데,
나는 국물을 좋아해서 좋지만,, 약간 창렬느낌이 있다.
경상도 사람들은 먹어본 사람마다 맛있다고 했다..
사진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6. 11 나주 중국집 연경(콩국수, 계란밥) (0) | 2018.06.28 |
---|---|
2018. 6. 4 나주 참치, 초밥집 삿뽀로 (0) | 2018.06.28 |
2018. 5. 27 나주 유선추어탕 (0) | 2018.06.28 |
2018. 5. 27 나주 장어집 구진포 제일장어 (0) | 2018.05.29 |
2018. 5. 25 나주 중국집 연경(짬뽕밥+탕수육) (0) | 2018.05.29 |
2018. 5. 27 나주 유선추어탕
가는 길
동신대 -> 시내방향으로 차량 5분 정도 거리
가격은 8천원 정도, 다른메뉴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추어탕가게이다.
특징은,, 돌솥밥에 맛있는 추어탕에,, 기본적으로 메인메뉴 돼지껍데기양념한 것 or 제육볶음을 주면서
반찬이 다양하다는 것
마지막에 돌솥밥에 누룽지를 해 먹을 수 있어서 여자친구가 좋아한다.
추어탕이 진짜 맛있음;
여기도 교수님 따라서 처음 발견한 곳!
사진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6. 4 나주 참치, 초밥집 삿뽀로 (0) | 2018.06.28 |
---|---|
2018. 6. 2. 나주 나주곰탕 하얀집 (0) | 2018.06.28 |
2018. 5. 27 나주 장어집 구진포 제일장어 (0) | 2018.05.29 |
2018. 5. 25 나주 중국집 연경(짬뽕밥+탕수육) (0) | 2018.05.29 |
2018. 5. 18 나주 삼겹살집 숭이네 (0) | 2018.05.29 |
방사선 - 10주차 (시험범위만 학습)
(5) 미만성 간질환
53. Fatty liver(지방간)
▴ 원인
- ① alcoholic liver disease(알콜성 간 질환)
- ② obesity(비만)
- ③ diabetes mellitus(당뇨병)
- ④ protein deficiency malnutrition(단백질 결핍성 영양결핍)
▴ US finding
- ① hepatomegaly(간종대) * 지방이 많이껴서.. 간 비대...
- ② homogeneous increased echogenicity( bright L ) *지방때문에 echo가 올라가고, 간도 하얗게 보이게 된다.
- ③ posterior attenuation(후방 음영 감쇠-fat으로 이미 반사가 많이 되어 뒤쪽까지 도달한 초음파가 적어서) *앞에 지방있어서 뒤는 어두워짐
- ④ decreased number of vascular structure *지방이 혈관을 눌러 혈관구조가 더 안보이게 된다.
▴ CT finding
- ① hepatomegaly(간종대)
- ② diffuse low density in liver (liver<spleen) (간의 미만성의 낮은밀도, 원래는 liver가 spleen보다 밝게 보임)
54. hepatitis(간염)
▴ Viral hepatitis(바이러스성 간염) /
▴ Hepatitis A, B, C, D, F & G(A, B형이 가장 많이 발생함)
55. Acute hepatitis(급성간염)
▴ Sonographic finding
- ① normal in most cases(대부분 초음파에서 정상)
- ② diffuse decreased echogenicity in liver parenchyme(간 실질의 에코가 감소)
- ③ periportal cuffing(edema) (간문맥은 혈관이라 hypo, 혈관벽은 hyper로 원래 잘 구별되나, 부종으로 인해 hyper가 사라짐)
- ④ GB wall thickening(edema) (담낭벽의 비후-부종으로 인해)
- ⑤ hepatomegaly(간비대)
- ▴ Purpose of US examination - exclude biliary obstruction(초음파 검사 목적은 담도폐쇄를 제외하기 위해)
56. Chronic hepatitis(만성간염)
▴ Persistence of biochemical abnormality - beyond 6 month(6개월 이상 생화학적 수치가 비정상으로 유지될 때)
▴ Fibrosis, regeneration nodule(섬유화, 재생된 결절)
▴ Sonographic finding
- ① normal in most cases(대부분 정상)
- ② coarse echotexture(거친 초음파 파장)
- ③ increased echogenicity(에코의 증가)
- ④ loss of definition of portal vein(간 문맥이 사라짐 - hyperechoic한 wall 없어지기 때문)
57. Liver cirrhosis(간경화)
▴ Etiologic classification(병인성 분류)
- ① alcoholic LC(서양에서의 간경화 주원인)
- ② post-hepatitic(우리나라는 B형,C형 간염 후 간경화가 가장 많은 원인)
- ③ biliary(담도가 막혀서)
- ④ cardiogenic(심장이 제대로 일을 못해서 간이 울혈되어서)
- ⑤ metabolic(대사상 철분이 침착되어서)
▴ US finding
- ① coarse echogenicity in liver(섬유화로 간에서 에코가 조잡해짐)
- ② decreased size of right lobe - left lobe, caudate lobe(꼬리엽)은 정상 *(우엽의 크기가 줄어들어 좌엽이 커져보이는 착각)
- ③ nodular liver surface *간 표면이 고르지못하고 울퉁불퉁해짐
- ④ portal hypertension - portal vein pressure (5~10mmHg)*가 정상이나, 간경화로 인해 문맥고혈압으로 여러 문제 발생
- - splenomegaly(비종대), dilatation of portal vein(문맥 확장), ascites(복수), collateral vessels(측부혈관)
▴ CT finding
- ① coarse density in liver(간에서 조잡한 밀도)
- ② nodular liver surface(결절형 간 표면)
- ③ decreased in size of right lobe(우엽의 크기가 줄어듦)
- ④ splenomegaly(비종대)
- ⑤ dilatation of portal vein(문맥확장)
- ⑥ ascites(복수)
- ⑦ collateral vessels
2. 담도계 질환
(2) 검사방법
58. Biliary tract disease(담도 질환)
▴ simple abdomen(단순 복부 X선 촬영)
1) calcification(석회화) - porcelain GB(자기관 담낭) : GB wall calcification(담낭 벽의 석회화)
chronic cholecystitis(만성 담낭염)
high risk of GB cancer(11~33%)
2) stone(결석) - 10~15% radioopaque(담석중 10~15%만 비투과성)
3) gas(가스) - Emphysematous cholecystitis(기종성 담낭염)
- ① Gas forming baterial infection(가스를 생산하는 박테리아에 감염되었을 때)
- ② DM(당뇨병)동반
- ③ gas in GB wall and lumen(담낭벽과 내강에 가스)
4) sentinel loop sign(보초장관 복강 내에 염증이 있을시 주위에 국소적으로 마비성 장폐색이 있는 것)
- acute cholecystitis(급성 담낭염)
59. Oral cholecystography(경구담낭조영술)
▴ Telepaque(조영제)을 복용후 12~13시간후 담낭 부위를 촬영
▴ 담낭이 조영되면 fatty meal을 먹인 후 다시 촬영 한다.
▴ GB stone, tumor(담낭결석, 담낭종양) - filling defect(충만결손)
▴ Cystic duct obstruction - non visualization(담낭관 폐쇄시 담낭이 보이지 않음)
▴ Non-visualization of GB(담낭이 보이지 않는 경우)
- ① decreased function of GB(담낭 기능 저하)
- ② Absorption disorder of GI tract(소화기관의 흡수장애)
- ③ Hepatic function disorder(간기능 장애)
- ④ biliary obstruction(담도 폐쇄)
60. 담도계 질환 기타 검사방법
▴ Ultrasonography(초음파 검사)
- 1st choice procedure *biliary tree 문제시 제일 먼저 하는 검사가 초음파검사
- jaundice(황달) 감별 * ※기출 : 황달의 종류
- -hepatocellular J.(간세포성 황달 - 대부분 정상) & obstructive J.(폐쇄성 황달 - 근위부 담도 확장) *을 감별한다.
※기출 : 담 파트에서 방사선 동위원소 스캔에 쓰는 것은? 99m-TC-DISIDA
▴ RI scan(동위 원소 검사)
- 99m-TC-DISIDA
- 영아에서 *jaundice가 있을 때* biliary atresia(담도폐쇄)*인지* & neonatal hepatitis(신생아 간염) *인지*감별
- biliary enteric anastomosis 후 유통성 여부 *담관이막혀 jejunum으로 연결하는 수술 후 잘 통하는지 검사
▴ CT의 장점(초음파와 비교했을 때 장점)
- ① Bowel gas에 방해를 받지 않는다.
- ② cholecystitis(담낭염)의 합병증을 발견할 수 있다.
- ③ lymph node metastasis(림프절 전이 관찰)
- ④ liver invasion(간조직 침범 관찰)
▴ PTC(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경피경간담도조영술)
- - proximal biliary obstruction(근위부 담도 폐쇄)
- - X선 투시 하에 세침으로 간을 천자한 후 조영제를 주입하여 관찰
- - 초음파 검사로 폐쇄성 황달이 proximal biliary obstruction(근위부 담도 폐쇄)일 경우 2차 검사로 사용
▴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내시경 역행성 담도조영술)
- - distal biliary obstruction(말단부 담도 폐쇄)
- - 내시경 삽관 후 조영제를 주입하여 관찰
- - 초음파 검사로 폐쇄성 황달이 distal biliary obstruction(말단부 담도 폐쇄)일 경우 2차 검사로 사용
▴ MRCP(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icography) (자기공명 담도췌관조영술)
- - invasive(침습적)한 PTC와 ERCP에 비해 non-invasive(비침습적)한 것이 특징
▴ Complication of PTC ※(기출)
- ① hypersensitivity(과민증) *ptc는 옆구리 피부를 통과해서 간을 통해 몸쪽 담도로 가기 때문에.. 과민
- ② bile peritonitis(담도 파괴로 인한 담즙 복막염) *간안의 담도를 찌르므로 파괴되어 흘러내려서
- ③ sepsis(패혈증) * 담도파괴로 세균이 흘러나가서
- ④ pneumothorax(기흉) * 옆구리로 가다보니까 폐를 찔러서
- ⑤ hemobilia(biliary tree에 출혈이 발생하여 담즙과 혈액이 섞이는 것) * 담도파괴로 출혈이 답즙과 섞임
▴ Complication of ERCP ※(기출)
- ① hypersensitivity(과민증) * 십이지장내부에서 관을 담도방향 거꾸로 집어넣으니... 거기는 main이자관과 다 C담관이 동시에.. 민감
- ② sepsis(패혈증) *담도파괴로 세균세어나감
- ③ cholangitis(담관염) *담도파괴로 염증
- ④ pancreatitis(췌장염) * 같이 합쳐지는 main 이자관파괴로 염증
(3) 담도계 결석
61. GB stone(담낭결석)
▴ simple abdomen(단순 복부 X선 촬영)
- radio-opaque stone(10-15%)
(단순복부촬영은 담도계의 석회화된 병변이나 가스등을 발견하는데 유용하나 담석이 석회화를 보이는 경우는 10-15%정도임)
▴ US finding
- ① Hyperechoic foci in GB(담낭에 고에코 병변)
- ② posteior acoustic shadowing(후방 음향 음영)
- ③ Movability in position change(체위 변화에 따라서 움직임)
▴ CT - high density stone in GB(담낭에 high density 결석)
62. Biliary tract stone(담도결석)
▴ Intrahepatic stone(간 내 담도의 결석)
▴ Extrahepatic stone(간 밖 담도의 결석)
▴ US finding
- ① hyperechoic foci in biliary tract(담도의 고에코 병변)
- ② posterior acoustic shadowing(후방 음향음영)
- ③ dilatation of proximal biliary tree(근위 담도의 확장)
▴ CT
- ① high density stone(pre-contrast filim) (조영 전에 이미 high density한 결석)
- ② dilatation of proximal biliary tree(근위 담도의 확장)
63. Acute cholecystitis(급성 담낭염)
▴ Pathophysiology
- obstruction of bile excretion(담즙배설장애) *사실 담낭에서 바로 내려오는 cystic duct가 막힌 것
- ① increased intraluminal pressure(담낭내 압력의 증가)
- ② GB distension(담낭의 확장)
- ③ inflammation of mucosa by bile salt(담즙산염에 의한 염증)
▴ US finding
- ① dilatation of GB(담낭의 확장) *cystic duct가 막혀 위쪽 담낭은 커진다.
- ② thickening of GB wall(>3mm) *염증에 의해 정상두께 3mm보다 더 담낭벽이 커진다.
- ③ hypoechoic line in GB wall * 담낭벽이 커짐에 따라 안에는 edema가 차서 물이 hypoecho로 보이게 된다.
- ④ stone in GB(담낭내 결석) *담낭염은 결석을 동반한 경우가 많다.
- ⑤ ultrasonic Murphy's sign(우상복부 늑골하를 transducer로 누르고 흡기를 하면 통증이 심해지고 호흡을 멈춤)
*원래 머피사인은, 오른쪽 간부위에 손을데고, 호기시, 내려오는 간과 GB가 손에 맞닿게 되는데, 팽창된 GB라면 환자는 아프다 한다. - ⑥ pericholecystic fluid collection(담낭주위 액체 저류)
(4) 담도계 종양
64. GB polyp(담낭용종)
※기출 : US finding
- ① Hyperechoic mass in GB wall(5 mm 이하) *담낭벽에 용종이 mass로 보이는데, 5mm이하다(용종은 작고 암은 10mm이상!)
- ② no posterior acoustic shadowing * 2,3번은 GBstone과 감별점으로서, 뒤에 hypo형성이 없고 + 자세바꿔도 움직임이 보이질 않는다.
- ③ no movability in position change(체위 변화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
65. GB carcinoma(담낭암) - GB stone(원인인 경우도 있으나 꼭 그렇지는 않다)
※기출 : Radiological classification(방사선학적 분류)
- ① mass forming type(m/c) * 담낭내부에 mass를 형성하는 담낭암으로 가장 흔함.
- ② polypoid type *용종처럼 튀어나온 타입,<--> 담용종은 mass처럼 보이지만 5mm이하
- ③ wall thickening type(10mm이상) *담낭염처럼 벽을 키우는 타입, <--> 담낭염에는 두꺼워진 벽안에 물이 차있어 hypo형성
3. 췌장 질환
그림 출제는 anatomy에 대해 나온다고 말씀하심.(2-131, 132, 133 설명하실 때 강조)
66. Pancreatic disease(췌장질환)
▴ 췌장의 simple abdomen(단순 복부 X선 촬영) (췌장 - Head, body, tail, uncinate process로 구성)
- ① pancreatic calcification - chronic pancreatitis(만성 췌장염에서 췌장 내부의 석회화)
- ② sentinel loop sign(복강 내에 염증이 있을시 주위에 국소적으로 마비성 장폐색이 있는 것)
- ③ colon cut off sign(대장절단징후, 췌장질환시 췌장 효소가 횡행결장을 침범해 장내 가스가 사라진 것)
- ④ pleural effusion(left) - acute pancreatitis(급성췌장염에서 좌측의 늑막삼출)
▴ Hypotonic duodenography(저긴장성 십이지장 조영술)
- buscopan injection 후pancreatic head를 둘러싼 duodenum 관찰 (부스코판등 항콜린작용약제를 근육주사 하여 십이지장의 운동을 억제 후 췌장 두부를 둘러싼 십이지장의 모양을 세밀 관찰)
▴ UGI finding of pancreatic head enlargement(췌장 두부 확장시 상부위장관 조영술의 소견)
- ① Widening of C-loop(C-loop의 확장, C-loop는 십이지장이 C자로 구부러지며 그 안에 췌장의 두부가 위치함)
- ② Mucosal fold change in duodenum(십이지장에서 점막 주름의 변화)
▴ Ultrasonography
- ① anatomical land mark(해부학적 지표; ‘비정맥’을 먼저 찾고 그 앞에서 췌장을 찾음) : splenic vein(비정맥)
- ② bowel gas(장내가스)에 방해 받는다.
▴ CT
▴ ERCP(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ography) (내시경 역행성 췌관 조영술)
▴ MRCP(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자기공명 담췌관촬영술)
67. Acute pancreatitis(급성 췌장염)
▴ Etiology
- ① alcohol drinking(음주)
- ② biliary tree disease(stone) (담석)
- ③ operation(수술)
- ④ ERCP(내시경 역행성 췌관 조영술)
- ⑤ blunt trauma(둔상)
- ⑥ infection(감염)
- ⑦ drug(약물)
▴ US finding
- ① diffuse enlargement of pancreas(췌장의 미만성 종대) *염증으로 전반적으로 부어 커짐
- ② Hypoechoic pancreas(부종으로 췌장이 hypoechoic함) *염증으로 물이차 hypo해짐
- ③ ill defined pancreatic margin(불분명한 췌장 경계) * 염증으로 마진이 울퉁불퉁해짐
- ④ peripancreatic fluid collection(췌장 주위의 액체 저류) * 이자 주위에 물이 가득 모여있음.
▴ CT finding
- ① diffuse enlargment of pancreas(췌장의 미만성 종대)
- ② Ill defined pancreatic margin(불분명한 췌장 경계)
- ③ dirty peripancreatic fat(췌장 주위의 지방층이 지저분해진다)
- ④ peripancreatic fluid collection(췌장 주위의 액체 저류)
68. Chronic pancreatitis(만성 췌장염)
▴ US finding
- ① inhomogeneous increased echogenicity(췌장 에코의 비균질적 증가)
- ② pancreatic calcification(췌장 내 석회화)
- ③ pancreatic parenchymalatrophy(췌장 실질의 위축)
- ④ dilatation of pancreatic duct(췌장관 확장)
- ⑤ dilatation of CBD(총담관의 확장)
▴ CT finding
- ① inhomogeneous increased density(비균질적 음영 증가) *급성과 다르게 fibrosis를 생각해야함.
- ② pancreatic calcification(췌장 내 석회화) * 만성일 경우 석회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음.
- ③ pancreatic parenchymalatrophy(췌장 실질의 위축) * 섬유화로 실질이 쪼그라들음
- ④ dilatation of pancreatic duct(췌장관 확장) * 3번으로 쪼그라들어, 상대적으로 4번 5번이 커짐
- ⑤ dilatation of CBD(총담관의 확장)
69. Pancreatic carcinoma(췌장암)
▴ US finding
- ① Hypoechoic mass(저에코성 종괴)
- ② localized pancreatic enlargement(국소성 췌장 종대)
- ③ pancreatic duct, CBD dilatation(췌장관 및 담도의 확장)
- ④ lymph node, hepatic metastasis(림프절 및 간의 전이)
- ⑤ obstruction of vessels(혈관의 폐쇄)
▴ CT finding
- ① low density mass(낮은 감쇠의 종괴)
- ② localized pancreatic enlargement(국소성 췌장 종대)
- ③ pancreatic duct, CBD dilatation(췌장관 및 담도의 확장)
- ④ lymph node, hepatic metastasis(림프절 및 간의 전이)
- ⑤ obstruction of vessels(혈관의 폐쇄)
2018. 5. 27 나주 장어집 구진포 제일장어
가는 길
나주에서 목포방향으로 대략 15분 정도 차를 타고 가다가 구진포방향으로 들어간다.
주위에 장어집이 몰려 있다.
가격은 아래 사진에서 추가할 것이다.
여자친구 어머니와 한번, 그리고 여자친구와 둘이서 한번 방문
너무 비싸기 때문에... 내 용돈으로는 감당이 안되지만,,
여자친구가 매우매우 갈구하여 간다.
나도 물론 좋지만 넘나 비싼 것..
소금구이 1인분 / 양념구이 1인분 해 먹었다.
반드시 공기밥(1000원)을 시켜야.. 장어국도 나온다.
여자친구는 누룽지(2000원)를 시켜먹었다.
사진
장어의 가격은.. 원래 넘나 비싼 것..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6. 2. 나주 나주곰탕 하얀집 (0) | 2018.06.28 |
---|---|
2018. 5. 27 나주 유선추어탕 (0) | 2018.06.28 |
2018. 5. 25 나주 중국집 연경(짬뽕밥+탕수육) (0) | 2018.05.29 |
2018. 5. 18 나주 삼겹살집 숭이네 (0) | 2018.05.29 |
2018. 5. 15 나주 초밥집 라쿠 (0) | 2018.05.29 |
2018. 5. 25 나주 중국집 연경(짬뽕밥+탕수육)
가는 길
나주 터미널 방면에 위치해있다.
동신대한의대 선배의 집이기도 하고, 서울 호텔 주방장 출신의 화교 가 하는 곳이다.
나주와서 진정한.. 짱개집의 묘미를 느꼈다.
짜장 짬뽕 외 중국요리가 모두 맛있다.
탕수육 15000원(작은 것)
삼선짬뽕밥 6000원
말이 안된다.. 넘마 맛있는 것..
사진
탕수육 부먹인데,, 쫄깃하고 너무 맛있다. 내입맛... (약간 담)
6천원짜리.. 짬뽕밥 클라스..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5. 27 나주 유선추어탕 (0) | 2018.06.28 |
---|---|
2018. 5. 27 나주 장어집 구진포 제일장어 (0) | 2018.05.29 |
2018. 5. 18 나주 삼겹살집 숭이네 (0) | 2018.05.29 |
2018. 5. 15 나주 초밥집 라쿠 (0) | 2018.05.29 |
2018. 5. 9 나주 돌박사(황태떡국) (0) | 2018.05.10 |
2018. 5. 18 나주 삼겹살집 숭이네
가는 길
동신대 앞 대호동에 위치한다.
무난하고 깔끔한 삼겹살 집..
저녁에는 사람이 매우 많다. 그리고 알아서 구워주고 짤라주고..
여자친구는 목살을 나는 삼겹살을 시켜서 먹는다.
이번에 갈 때는, 회의 땜에 지친 상태라 만원짜리 전복 10개를 추가 시켜서먹었다.
사진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5. 27 나주 장어집 구진포 제일장어 (0) | 2018.05.29 |
---|---|
2018. 5. 25 나주 중국집 연경(짬뽕밥+탕수육) (0) | 2018.05.29 |
2018. 5. 15 나주 초밥집 라쿠 (0) | 2018.05.29 |
2018. 5. 9 나주 돌박사(황태떡국) (0) | 2018.05.10 |
2018. 5. 7 나주 영산포 부산식당 (0) | 2018.05.10 |
2018. 5. 15 나주 초밥집 라쿠
가는 길
동신대 앞에 대호동에 위치하면서, 가난한 대학생들이... 점심특선을 먹으러 자주 가는 곳이다.
연어덮밥 / 돈까스덮밥 / 소고기덮밥 등이 있다. 가격은 6000~8000원 대이다.
맛있어서 한번 씩 여자친구랑 먹으러 간다
사진
이것은 소고기 덮밥
이것은 여자친구가 좋아하는 연어덮밥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5. 25 나주 중국집 연경(짬뽕밥+탕수육) (0) | 2018.05.29 |
---|---|
2018. 5. 18 나주 삼겹살집 숭이네 (0) | 2018.05.29 |
2018. 5. 9 나주 돌박사(황태떡국) (0) | 2018.05.10 |
2018. 5. 7 나주 영산포 부산식당 (0) | 2018.05.10 |
2018. 5. 6 나주혁신 가내수공업( 쭈꾸미 + 고르곤졸라 피자 ) (0) | 2018.05.10 |
방사선 - 9주차
3. Duodenum & small intestine
(1) 정상 해부학과 검사법
33. Duodenum & small intestine의 정상 해부학과 검사법
▴ Duodenum(십이지장) - retroperitoneum(후복막강)에 위치
- ① bulb(구부)→descending portion(하행부)→transverse portion(횡행부)→ascending portion(상행부)
- ② surrounded pancreatic head(십이지장이 췌장의 head를 싸고 있다)
- ③ papilla of Vater(Vater 팽대부) - 2nd portion(하행부 혹은 제2부위에 위치)
▴ small intestine
- ① jejunum(공장) - Treitz ligament(트라이츠인대) *가 댕기고 있어서 duodenum과 jejunum구분이 가능하다
- ② ileum(회장) - no anatomic landmark(공장과 해부학적 뚜렷한 구분점 없음)
- ③ ileocecal valve(회맹판) - upper & lower lip(상순과 하순의 두 부분)
*ileum과 cecum(*대장 시작점)사이에는 valve가 있어서 상부 하부 lip이 나타난다.
▴ UGI series(상부 위장관 조영술)*을 많이 쓴다.
▴ Hypotonic duodenography(저긴장성 십이지장 조영술) = * UGI + @(아래항목)
- - buscopan injection *을 통해
- - peristalsis(연동운동) 억제, mucosal fold change(점막 주름변화)검사 *를 한다
▴ Small bowel series(SBS) (회맹판 검사) * co2를 발생시키는 중탄산나트륨 과립을 넣지 않는 검사법
- barium 300ml(마시게 함) → 30min마다 check → ileocecal valve(회맹판)로 넘어가면 fluoroscopy(투시 촬영)
▴ Ultrasonography - wall thickness 3 mm 이하 *가 정상
▴ CT
(3) 각종 질환의 소견
34. Meckel's diverticulum(Meckel 게실)
▴ 전체 인구의1-4%에서 발생,
▴ Congenital disorder(선천적 장애)
▴ Ileocecal valve(회맹판)에서 90Cm이내 *proximal쪽에서부터 90cm
▴ Anti-mesenteric border(장간막 반대측) *에 잘생긴다
- -*보통의* small bowel diverticulum(소장 게실)은 mesenteric border(장간막측)에 발생
▴ 증상은 complication(합병증)이 없으면 無
- 합병증의 종류 : hemorrhage(출혈), obstruction(폐쇄), intussusception(장 중첩증)
35. Duodenal ulcer(십이지장 궤양) - Duodenal bulb(구부)에 주로 발생
*gastric ulcer보다 더 많이 발생한다.
- ① Ulcer in duodenal bulb *bulb에서 잘생기는 이유는 위에서 내려오는 위산(gastric juice)때문
- ② Clover leaf deformity(fibrosis가 주변을 잡아 당겨서 클로버 모양 변형)
- ③ Butterfly deformity(chronic ulcer → fibrosis)(나비모양 변형)
*2번과 3번은 같은 말이다.
3. 대장
(1) 정상 해부학과 검사방법
36. Colon의 명칭
- Cecum(맹장) → Ascending colon(상행결장) → Hepatic flexure(간 만곡부) → Transverse colon(횡행결장) → Splenic flexure(비 만곡부) → Descending colon(하행결장) → Sigmoid colon(S자 결장) → Rectum(직장)
37. Colon study(대장검사)(=barium enema, 바륨을 이용하는 관장)
① Double contrast colon study(이중 조영 검사)(barium + air) *환자의 항문에 바륨과 air를 같이 넣어서 double contrast임
② Single contrast colon study(단일 조영 검사)(barium) * 바륨만 넣는다. 너무찐해서 mucosal fold가 잘 안보일수 있다.
※기출 : indication(적응증)
- ① acute diverticulitis(급성 게실염)
- ② colon obstruction(대장 폐쇄)
- ③ congenital megacolon(선천성 거대 결장)
- ④ toxic megacolon(중독성 거대 결장)
※기출 : Preparation(전처치)
- ① 24-48시간 soft diet & low residue diet *하루~이틀 정도 죽&찌꺼기가 적은 음식만 먹는다.
- ② 검사전날 하제(Mg citrate) *하루전에는 설사제를 복용해서 다빼준다.
- ③ 검사전날 밤부터 금식 *하루전날 밤부터는 먹지않는다.
(2) 각종 질환의 소견
38. Intussusception(장 중첩증) * 소장의 ileum과 대장의 cecum쪽에서 많이 일어나는 듯?
▴ definition : Proximal bowel(원위)이 distal bowel(근위)내로 말려 들어간 것
- - intestinal obstruction(장폐쇄) *내강이 좁아진다.
- - necrosis(괴사)(blood supply 장애) *장폐쇄가 오래된다면..
- 6개월-4년 영아(90%) 가장 흔함
▴ Type
- ① ileoileal(ileum이 ileum으로 말려들어감)
- ② ileocolic(m/c) (ileum이 colon으로 말려들어감)
- ③ colocolic(colon이 colon으로 말려들어감)
▴ etiology
- ① idiopathic(특발성) *원인모른다는 말
- ② leading point(선행 원인 질환) - Meckel’s diverticulum, polyp, tumor *가 있는 경우 발생하기도 한다.
▴ Simple X-ray finding
- ① Small amount of bowel gas in right abdomen(우측 복부의 가스음영이 적음) *말려 올라가서 gas가 없다.
- ② mass density in colon(결장 안에 종괴 음영) *말린부분이 mass로 보인다.
※기출 : US finding(초음파)
- ① donut or taget sign(도넛 혹은 표적 모양) - * 말려서 겹치기 때문에 초음파로 횡단 스캔시, (비후성 유문 협착증처럼) 도넛/타켓모양
- ② pseudokidney sign(거짓신장 모양) - * 신장은 주위의 fat때문에 renal sinus가 형성되어 보이는데, 그것처럼 보임
※기출 : Colon study (barium reduction, 바륨 정복술) * 바륨으로 검사도 하면서, 압력으로 말린 것을 풀어낸다.
- ① crescent filling defect *말린부분 사이사이로 바륨이 들어가, 초승달모양의 필링디펙트
- ② coil spring appearance(용수철 모양) * 마찬가지, 용수철 모양이기도 하다.
- ☞ Terminal ileum까지 Barium이 역류되어야 성공
- ☞ Air reduction(공기를 넣어 정복), saline reduction(생리식염수를 넣어 정복) - barium peritonitis(바륨복막 염)
*바륨은 미세돌가루로 인해 복막염이 생길 수 있어서, 공기나 샐라인(생리식염수)를 넣어서 압력으로 풀어준다.
39. Congenital megacolon(=Hirschsprung disease) (선천성 거대 결장증 - 허쉬 스프렁 디지즈)
▴ Absence of parasympathetic ganglionic cell in myenteric plexus of Auerbach
(Auerbach가 변한, 장관근 신경총 내에 부교감 신경절 세포의 결여)
▴ Intestinal relaxation disorder(장 이완 장애) & loss of peristalsis(연동 운동 소실)
→Functional intestinal obstruction(기능성 장폐쇄) *실제로 막힌게 아니라 기능적으로 막힌 것
▴ Rectum(직장) and sigmoid colon(S자 결장)에 호발
▴ Simple X-ray finding
- ① large and small bowel distension(소장과 결장의 확장)
- ② no visible rectal gas(직장내 가스가 보이지 않음)
▴ Colon study finding
- ① narrowing portion in rectosigmoid C(직장S결장의 좁아진 부위)
- ② dilatated proximal colon(늘어난 근위부 장관)
- ③ rectum D/sigmoid colon D(직장 직경/S자 결장 직경)가 1이하 (원래는 1이상으로 rectum이 더 넓어야함)
- ④ transition zone(이행부)이 안보이면 delayed film(지연촬영)을 찍어 delayed visualization of barium in colon(24-48 hrs)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다. *1번땜에 좁아져서 잘 안보일 경우
40. Acute appendicitis(급성 충수염) *맹장염=급성 충수돌기염=급성 충수염
▴ RLQ pain, rebound tenderness(복부 촉진시 손가락 땔때 통증), leukocytosis(백혈구 증가증)
▴ obstruction of appendical lumen(충수내강의 폐쇄)
- -(원인) : fecalith(대변덩이), lymphoid hyperplasia(림프구 증식), foreign body, parasite(기생물), neoplasm(신생물)
▴ US finding : appendix D(iameter가) 6mm이상 on compression(압박하면서 초음파검사시 충수 지름이 6mm이상)
▴ CT
- ① dilatation of appendix(충수의 팽창)
- ② surrounding fat infiltration(주변에 지방 침윤)
- ③ peri-appendiceal abscess(충수 주변의 농양)
- ④ deformed cecum, thickening of cecal wall(변형된 맹장, 맹장 벽이 두꺼워짐)
41. Colon carcinoma(대장암)
▴ Common site(호발 부위) : rectum & sigmoid colon(직장 & S자 결장)
* 항문직전인 recturm과 그 전인 s colon 등 distal쪽에 대장암이 잘생긴다.
▴ Colon study finding
- ① polypoid mass with irregular surface & ulceration(불규칙한 표면의 폴립형 종괴 & 심하면 궤양까지)
- ② rigid colonic wall(경직된 장벽) *단단한 벽은 cancer 의 특징
- ③ mucosal folds destruction(점막 주름의 파괴)
- ④ decreased lumen(감소된 내강)
- ⑤ obstruction(폐쇄)
- ⑥ apple core appearance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주위를 둘러싸는 것처럼 생길 경우, 사과 양쪽 다 파먹은 모양)
42. Colonic polyp(대장 폴립)
*조기 발견시 100% 완치되는 것
▴ Classification(분류)
- ① hyperplastic polyp(증식성 폴립)
- ② inflammatory polyp(염증성 폴립)
- ③ juvenile polyp(hamartoma)(과오종성 폴립)
- ④ adenomatous polyp(선종성 폴립) - most common(가장 많고), malignant change(악성 변화)
▴ Increased malignancy incidence of adenomatous polyp(선종 폴립이 악성으로 될 확률이 높은 경우)
- ① 2Cm 이상
- ② sessile form(꼭지가 없는, 납작한 모양)
- ③ irregular mass surface(불규칙한 종괴 표면)
- ④ depression in base of polyp(용종 기저부의 함몰)
- 1Cm 이하 - 1% malignant change
- 2Cm 이상 - 50% malignant change
43. Colonic diverticulum(대장성 게실)
▴ Mucosa, submucosa *가 muscle층을 뚫고 나와 풍선처럼 부푸는 것 = 게실
▴ Low residue diet(찌꺼기가 적은 식단-고기종류, 백미, 밀가루)와 관련
▴ Multiple(대개가 다발성으로 옴)
▴ Colon Study Finding
- - Well defined, barium filled, lesion , with neck(경계가 뚜렷하고 목이 있는 바륨이 고인 병변)
▴ Complication(합병증)
- ① diverticulitis(게실염) ② hemorrhage(출혈) ③ perforation(천공) 으로 - peritonitis(복막염) 과 ④ abscess(농양) 을 생성
44. Chronic idiopathic ulcerative colitis(만성 특발성 궤양성 대장염)
▴ Superficial ulcer in mucosa(점막의 표재성 궤양)
▴ Rectum, sigmoid, descending colon에 호발(주로 좌측 대장에 호발)
▴ 계속 진행되면 proximal colon으로 이행
▴ Pre-cancerous lesion(대장암 전구증)
▴ terminal ileum 침범(10%) * proximal인 ileum까지 involve될 확률은 적다.
▴ X-ray finding
- ① fine granular mucosa(미세한 과립상 점막)
- ② erosion & superficial ulceration(미란 및 표재성 궤양)
- ③ coarse granular mucosa * 1번이 진행되면,, 굵고 거칠어짐 (거친 과립상 점막, 염증 반응으로 점막 표면이 거칠어짐)
- ④ lead pipe appearance(납관모양) - narrowing(좁아짐), shortening(단축), loss of haustration(팽기 소실)
- *사진 참고해보셈. 완전얍실해지고, 볼륨들이 작아져잇음.
45. Crohn’s disease(크론병)
▴ Involve whole layer of colon(장의 전 층을 침범하는 육아종성 염증)
▴ Deep ulceration(깊은 궤양) * whole layer를 다 먹어서 깊은 궤양을 만든다.
▴ fistula(샛길, 루), abscess(농양) formation *fistula한 = 샛길이 만들어지고 그 사이로 농양이 형성된다?
▴ Small intestine, right colon에 호발(rectum spare) (직장은 침범하지 않음) * rectum까지는 안간다.
▴ X-ray finding
- ① coarse granular mucosa(거친 과립상 점막)
- ② deep ulceration(깊은 궤양)
- ③ Bull´s eye(=Target sign) *깊은 궤양이 생기면서, 궤양과 궤양사이의 mucosa부분이 뛰어나온다.
- ④ Cobble stone appearance(longitudinal and transverse ulcer) (종축방향 궤양과 횡형궤양이 서로 만나 조약돌 모양) *심해졌을때
- ⑤ pseudosacculation(anti-mesenteric border) *장간막 반대쪽에 거짓 소낭이 생기는 이유는, 크론병으로 인해 장간막쪽 궤양이 생성되어 운동이 제한되므로 장간막 반대쪽이 보상성?으로 열심히 일하다보니, 소낭처럼 보인다.
- ⑥ fistula, abscess formation(루, 농양 형성)
- ⑦ skipped lesion(침범 부위의 중간에 정상 부위가 끼어 있는 형태) * 정상 - 병변 - 정상 의 형태로 중간중간마다 병변이 생긴다.
▴ Ulcerative colitis & Crohn's disease D/D
Ⅲ. 간, 담도, 췌장
46. Liver disease(간질환)
*간은 전체가 subtissue로 나오므로, 바륨을 넣지 않고, 초음파나 CT로 판별한다.
▴ Simple abdomen(단순 복부 X선 촬영)
1) hepatomegaly(간비대)
- ① enlarged right lobe(우엽 확장) *우엽이 커지면~
- - elevation of right diaphragm(우측 횡경막 상승)
- - depression of hepatic flexure of colon and right kidney * 대장의 간 만곡부위(왼쪽만곡)과 오른쪽 신장이 눌리게 된다.
- ② enlarged left lobe(좌엽 확장)
- - displacement of stomach to left(위가 좌측으로 밀란다)
- - depression of gastric antrum(위의 유문동이 눌린다)
2) Calcification in liver(간 석회화) *의 원인들
- ① granuloma(tuberculosis)(육아종(결핵))
- ② old abscess(오래된 농양이)
- ③ hepatocellular carcinoma(10%) (간세포암은 10%정도 밖에 차지안한다)
- ④ metastatic carcinoma(전이암) *특히 colon cancer가 liver로 가서 간 석회화를 일으킨다.
- ⑤ angioma(혈관종)
- ⑥ gall stone(담석) * 담석 중에도 10~15%만 간 석회화를 발생시킴
3) Gas in RUQ of abdomen(간에 Gas가 존재하는 경우) - no present in liver normally(정상시 존재하지 않음)
- ① Pneumoperitoneum(기복증)
- ② subphrenic abscess(횡격막하 농양)
- ③ gas in portal vein(간 문맥내 가스가 있는 경우)
- ④ gas in biliary tree(담도에 가스가 있는 경우)
(2) 검사방법
47. 검사방법
1) RI(radioisotope) scan
- 99m-Tc-sulfur colloid *를 injection하면,
- Kupffer cell에 uptake *가 되어서 r-ray에서 나오게 된다.
- (mass에는 Kupffer cell이 없어 99m-Tc-sulfur colloid가 uptake되지 않아 그 부분은 r-Ray가 나오지 않는다.(cold area))
▴ Liver의 구성세포
- - Hepatocyte(2/3)
- - Kupffer cell(1/3)
▴ Localized liver mass(국소 간종괴)에는 cold area로 보임 *mass에는 쿠퍼셀이 없기 때문에, 약품 인젝션을 뱉어내지 못해 r-ray에 안나옴
- *국소 간 mass의 원인들 - 어느것인지는 판별불가능 * (cyst, abscess, hemangioma, HCC, metastatic carcinoma)
▴ Mass가 2cm이상 되어야 detection *된다.
- 2cm이하 나 간 내부 깊숙이 있으면 안보임
2) Ultrasonography의 장점 *방실연경기여
- ① 방사선 장애가 없다
- ② 실시간 단면영상을 얻을 수 있다
- ③ 여러 경사면으로 관찰할 수 있다
- ④ 연조직간 구별이 가능하다
- ⑤ 기계적으로 단순하다
- ⑥ 경제적이다
- [hyperechoic] 순서
stone, calcification - fat - liver - spleen - renal cortex - renal medulla - fluid(blood,bile,pus)
3) CT(computed tomography) - staging of malignancy(악성종양의 단계 진단)
4) Angiography
- - diagnosis(과거에는 진단목적)
- - hypo- or hyper- vascularity * 혈관계가 hypo인지 hyper인지 알 수 있다. hyper면 혈관계가 복잡하여 출혈이 많을 수 있다.
- - embolization(색전술) * 간의 종양으로 가는 곁가지 혈관들을 막아-> 출혈을 막아는 방법
5) MRI - hepatic hemangioma(간 혈관종)의 진단에 유용
(3) 국소 간질환
1) 양성 종괴
48. Hepatic cyst(간 낭종) * 간에 생긴 물혹
▴ US finding
- ① no internal echo(anechoic mass)(내부 에코가 없음) * 내부가 초음파상 까맣게 보인다.
- ② well defined margin(경계가 뚜렷함)
- ③ no visible capsule(피막이 보이지 않음) * 원래 cyst에는 캡슐이 있으나, 초음파로는 관찰이 잘된다.
- ④ posterior enhancement(후방 음영 증강) * 안에 물이라서 뒤쪽에 초음파가 쌓여 하얗게 보인다.
▴ CT finding
- ① low density mass(Hounsfield Number : 0) * 초음파상 no echo = CT상 low density
- ② well defined margin(경계가 분명)
- ③ No visible capsule(피막이 보이지 않음)
- ④ no enhancement in post-contrast film(조영제를 준 후에도 cyst에 혈관이 없고 물이라서 강화되지 않음)
49. Liver abscess(간농양)
▴ 원인
- pyogenic(화농성)--- multiple*로 생김
- amebic(아메바성)--- single*로 생김
▴ US finding
- ① hypoechoic mass(internal echo +) *cyst와 같은 말 an echoic = hype echoic 둘다 음영이 낫아 까맣게 보인다.
- ② ill defined margin(불명확한 경계)
- ③ irregular thick wall(불규칙적으로 비후된 농양 벽)
- ④ posterior enhancement(후방 음영 증강) * 농양도 cyst처럼 물이라서
▴ CT finding
- ① low density mass(저밀도 종괴)
- ② irregular, ill defined margin(불규칙적이고 불명확한 경계)
- ③ well enhanced thick wall(조영증강된 두꺼운 농양벽)
- ④ no enhanced central cavity(내부는 음영의 낮은 감쇠) *pus가 들어있는 central cavity는 물이라서 음영증가가 없다.
50. Hepatic hemangioma(간 혈관종)
▴ Most common benign hepatic tumor(가장 흔한 양성 간 종양) -
▴Symptoms(-) * 대부분의 간 혈관종은 무증상이다.
▴ US finding
- ① well defined hyperechoic mass(에코 증가형) *이 제일 많고
- ② hypoechoic mass(에코 감소형)
- ③ mixed echoic mass(에코 혼합형)
▴ CT finding
- ① low density mass in precontrast film *조영제하기전에는 low density로 보인다.
- ② Nodular peripheral enhancement with central enhancement at time passes(dynamic CT)
*dynamic CT(한 부위를 고정시키고, 시간에 따라 계속 찍는 것)를 찍으면시간이 지날수록 바깥쪽 노듈라형의 음영이 -> 중앙쪽으로 온다. - ③ strong enhancement(vessel과 동일)(조영증강 정도가 혈관과 동일한 정도)
▴ MRI finding
- ① T1 weighted image(T1WI) - well defined low signal mass *로 보인다. (낮은 신호의 mass, 어둡게)
- ② T2 weighted image(T2WI) - well defined high signal mass*로 보인다. 잘보임*(normal liver는 low signal) (높은 신호의 mass, 하얗게)
2) 악성 종양
51. Hepatocellular carcinoma(간세포 암)
▴ typeB,C hepatitis(우리나라 대부분 간암환자는 B or C형 간염→(간경화 有 or 無)→간암의 진행과정)
*B형이 제일 많고, C형은 적으나 예후가 더 안좋음
▴ US finding
- ① ill defined mass(뚜렷하지 않은 경계의 종괴)
- ② echogenicity(흡수계수) — hyper > hypo > mixed
- ③ hypoechoic halo (fibrous capsule) - target sign, Bull’s eye sign *음영이 낮은 달무리가 보이는데, 섬유성 캡슐 때문이다.
*내부의 mass는 hyper, 둘러싸는 halo는 hypo echoic하여 모양은 타켓/무소 눈 - ④ mosaic pattern(nodule in nodule pattern) (종양 안에 또 여러 결절들이 모여 한 개의 종양을 이룸)
- ⑤ uncommon calcification(10% 정도의 드문 석회화)*석회화는 드물다.
▴ CT finding *참고 : 초음파와 차이점은, 조영제를 투입한 뒤 찍어서 표현만 다르다.
- ① ill defined low density mass in pre-contrast film(조영제 주입 전에는 조금 낮은 감쇠)
- ② irregular enhancement in arterial phase(동맥기에 불규칙한 증강) *조영제가 동맥기에 있을 때임
- ③ low density mass in venous phase(정맥기에 저밀도 종괴) *정맥기에는 조영제가 빠져나가므로, low density
- ④ low density capsule in arterial phase / high density capsule in venous phase * ? 캡슐은 mass와 밀도가 반대로 나타난다.
- ⑤ mosaic pattern
※ 동맥기 : 조영제를 정맥에 주입한 후 심장을 거쳐 동맥으로 간에 도착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찍음
정맥기 : 동맥기를 거쳐 간에서 정맥으로 빠져나가는 시간을 계산하여 찍음
52. Hepatic metastatic carcinoma(전이성 간암) - 대부분 mutiple(다발성)
▴ Primary focus(원발병터) : GI tract(위장관),lung(폐), breast(가슴), melanoma(흑색종)
* GI tract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 이유는 위장관에서 나오는 inferior / superior mesenteric v.(?)이 portal v.에 합류되기 때문에 전이가 많다.
▴ US finding
- ① multiple ill defined mass(다발성의 불명확한 종괴) * multiple로 나타나는 것이 간세포암과의 유일한 감별점
- ② echogenicity — hyper(m/c), hypo, iso(주위와 비슷)
- ③ hypoechoic halo(저에코 달무리) (target sign, bull’s eye sign) (간암보다 더 명확히 드러남)
▴ CT finding
- ① multiple low density mass(다발성 저 밀도 종괴)* multiple로 나타나는 것이 간세포암과의 유일한 감별점
- ② no enhancement in mass(종괴는 음영증강이 없다)
- ③ peripheral rim enhancement(변연부 테두리 음영증강)
▴ HCC와의 감별(밑은 전이성 간암의 특이사항) *HCC : HepatoCellular Carcinoma, 간세포암
- ① multiple(다발성)
- ② primary focus(원발 병터가 존재하고 전이됨)
- ③ no liver cirrhosis(간경화가 없다) * 간세포암(HCC)은 b/c형감염 -> 간경화 를 겪고 온다.
- ④ target sign, bull’s eye sign(간암보다 전이성 암에서 더 잘 보인다) *HCC보다 더 많이 생기고 자세히 보인다.
방사선 - 8주차
1. 식도(Esophagus)
14. Esophagus(식도)
▴ cricoid cartilage(윤상연골)부터 stomach cardia(위분문)까지
▴ Physiologic(생리적) narrowing point ※기출 : Physiologic narrowing point & 의의
- ① thoracic inlet(흉부 입구)
- ② aortic arch(대동맥궁)
- ③ diaphragm(횡격막)
- ☞ Foreign body (이물질이 세부위에 걸리고 diaphragm에 가장 좁아 제일 잘 걸린다)
▴ Esophagography
- ① BaSO4 : 주로 사용함
- ② iodine compound : 장 천공시 바륨 복막염이 우려되어 요드화합물로 사용함
▴ Preparation(전처리) --- 없음 (설명 : 위장관(위,대장) 벽은 4층으로 serosa 있음, but 식도는 serosa 없이 3층이다.)
15. Diaphragmatic hernia(횡격막 탈장) *횡격막에 난 구멍( 3 종류)을 통해 탈장(-> 위로 올라옴 )이 이루어짐
▴ definition : peritoneal cavity(복막강) 내의 장기가 normal or abnormal hiatus(정상 혹 비정상적 열공)를 통해 thorax(흉곽)내로 들어가는 것,
▴ hernia : peritoneal cavity(복막강) 내의 장기가 peritoneal cavity(복막강) 밖으로 protrusion(튀어나옴)
※기출 : 횡격막 탈장(diaphragmatic hernia) 3종류
▴ 종류 : Bochdalek hernia(보달렉), Morgagni hernia, Esophageal hiatal hernia
16. Bochdalek hernia (congenital defect-선천적)
▴ (원인) Incomplete fusion of pleuroperitoneal membrane(가슴-배막의 불완전한 융합으로 생긴 열공)
- Hernia sac(탈장 낭)이 없다 *막이 없으므로 낭 없이 바로 장기가 탈장
- 왼쪽에 주로 생김, posterolateral(후측방)에 위치
※기출 : X-ray finding
- ① intestinal gas in thorax(흉곽 내에 장관 가스 음영) * 장이 흉곽내로 들어와서, 장속의 가스가 흉곽내에서 보이게 된다.
- ② air-fluid level *장땜에 보임
- ③ shifting of mediastinal structure to contra-lateral side(반대편으로 종격동 밀림)
- ④ solid mass in thorax : spleen, kidney(비장, 신장까지 빠져나가 흉곽 내에 있으면 고형 종괴로 나타남)
17. Morgagni hernia (태생기때)
▴ Diaphragm이 sternum에 incomplete fusion(횡격막이 흉골 앞쪽에 불완전하게 융합하여 발생) *딱 달라붙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서
- Right, anterior(우측, 전방)에 위치
- Hernia sac(탈장낭)이 있다. *막이 있어서 일부만 빠져나온다.
- 주로 omentum(장망)이 herniation(탈장) *주로 omentum만빠져나오다보니, 장x -> gas도 안보인다.
▴ X-ray finding
- ① right cardiophrenic angle mass(우측 심장횡격막각 주위의 종괴)
- ② upward angulation of mid-transverse colon(중간 횡행결장이 상방으로 모서리를 만듦)
- ③ upward displacement of proximal duodenum(근위 십이지장이 상방으로 전위) *omentum에 딸려서 올라감.
- ④ retrosternal mass(lateral view)(측면사진에서 흉골 후방 위치) - (후측방에 위치하는 Bochdalek 탈장과 구별)
18. Hiatal hernia(식도 열공 탈장)
※기출 : 식도 열공에서 숏 타입의 원인은?
▴ Esophageal hiatus(위 두 개와 달리 횡격막에 있는 정상적인(생리적) 구멍을 통해 탈장) *횡격막을 뚫은 식도의 정상구멍으로 stomach..가 올라옴
▴ Type
- ① sliding type(most common)(활주형) - 그림A
- - cardia(분문부)가 esophageal hiatus(식도열공) 상방에 위치
- - redundant esophagus(과잉 식도)
- ② short esophagus type(식도 단축형) - 그림C
- - cardia(분문부)가 esophageal hiatus(식도열공) 상방에 위치
- - short length of esophagus(reflux esophagitis) : 1번의 증상이 오래되어 역류로 인한 염증 등으로 인해 식도가 반사적으로 짧아져, 위가 올라가버린 것
- ③ para-esophageal type(식도 주위형) - 그림B
- - cardia(분문부)는 정상에 위치
- - gastric fundus(위의 기저부)가 esophageal hiatus를 통해 thorax(흉곽) 내로 올라간 것
19. Achalasia(무 이완증, 기출)
▴ Inability of lower esophageal sphincter to fully relax after swallowing (연하 후 하부 식도조임근이 이완되지 않는 질환)
* 음식물을 삼켰는데도 하부 식도조임근이 열리지 않아 완전한 이완상태가 안되서 -> 식도내에 음식물이 고이게 된다.
▴ ganglion cell의 수 감소 *가 원인
▴ X-ray finding.
- ① bird beak like narrowing(폐쇄 부위는 서서히 가늘어져 횡격막부위에서는 새부리 모양으로 보임)
- ② proximal esophageal dilatation(근위부 식도(상부식도)의 확장)
20. Esophageal diverticulum(식도 게실)
▴ Esophageal wall(식도벽 구성) : mucosa - submucosa – muscle (위-장관과 비교해서 serosa는 없음)
▴ Classification
- ① pulsion type (내압성) - mucosa와 submucosa가 밖으로 빠져나감 *안->밖으로 muscle 층 구멍을...
- ② traction type(mediastinal lymphadenitis)(견인성) - 종격동내 림프절의 염증으로 fibrosis로 인해 벽을 잡아당김 *밖에서 3개층 다 잡아당겨짐
▴※기출 : pulsion type과 traction type의 D/D
21. Esophageal leiomyoma(식도 평활근종)
▴ Most common esophageal tumor(식도에 가장 흔한 양성종양)
▴ Submucosal tumor * mucosa는 변화가 없다.
▴ X-ray finding
- ① smooth marginated filling defect(경계가 부드러운 filling defect)
- ② no visible mucosal destruction(점막의 파괴는 보이지 않음)
- ③ central ulceration(중심부 궤양) *궤양이 중앙에 보인다.
▴ Neurofibroma(신경섬유종), fibroma(섬유종), lipoma(지방종), hemangioma(혈관종), polyp(폴립) 등 기타 양성 종양들과 구별 안 됨
* 위의 병증들 모두 1,2,3번의 x-ray finding을 보인다.
22. Esophageal carcinoma(식도 악성종양)
▴ Squamous cell carcinoma(90%)(편평상피세포암) * 90%가 편평상피세포 암
▴ Adenocarcinoma(10%)--- lower E(선암---식도하부에서 호발) *10%가 하부 식도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
▴ X-ray finding
- ① well defined polypoid or plaque like filling defect(경계가 분명한 폴립형 혹은 판형의 filling defect)
* cf) filling defect란, mass로서, 내강 안쪽으로 바륨이 차지 않는 모습을 의미. - ② narrowing of lumen(식도 내강이 좁아짐)
- ③ mucosal fold destruction(점막주름의 소실) * cancer니까 점막주름은 다 파괴시킴
- ④ ulceration in mass(궤양성 변화)
- ⑤ rigid esophageal wall(식도벽의 강직) * 딱딱해진다.
23. Esophageal varix(식도 정맥류)
▴ Etiology : liver cirrhosis(most common cause) collateral circulation (portal hypertension)
* 비장->간으로 가는 portal v. (말만 vein이고, 장에서 나온 영양분과 장소를 싣고있다)에 합류되는
splenic v. 과 superior mesenteric v. 이 합쳐서 portal v.이 간으로 가는데.
간 경화로 인해, 거기에 분포하는 portal v.이 압박되는 portal hypertension시,
우리 몸은 혈관을 더 만들어내는데, 그것을 collateral circulation이라 한다. 여러 개의 collateral circulation 중에,
disal(lower) esophaegeal v.으로 합류되는 혈관들 땜에, distal esophageal v.의 dilatation이 발생하고, 터질 경우 취사율이 높게 된다.
(간경화(가장흔한 원인)로 간문맥압 항진증이 있을 때 여러 종류의 우회로중 하나)
▴ Common site : lower esophagus에 distal esophageal vein의 dilatation(하부식도의 원위식도정맥의 확장)
▴ X-ray finding
- ① tortous linear filling defect(worm like filling defect)(구불구불한 선상(벌레모양)의 충만 결손)
- ② cobble stone appearance(조약돌 모양)
※기출 : Downhill varices
SVC(상대정맥)나 azygos vein(기정맥) obstruction으로 proximal esophageal vein dilatation(근위식도정맥의 확장) 되어 upper esophagus(상부식도)에 생기는 varices(정맥류)
2. 위
24. Stomach
▴ Contrast media(조영제) : ① 황산바륨(Barium) + ② 공기 *가 상품화된 것 = 중탄산나트륨과립---CO₂ *가 나와서 바륨과 섞이게 된다. (*바륨만 있으면 잘 안보인다)
▴ UGI series : ① 점액용해제(cimeticone) : *점액용해제를 넣어서 mucosa를 줄여준다.
② 중탄산나트륨과립,
③ 바륨 을 순서대로 먹인후 환자를 눕힌 후 회전시킨다.
*upper gastric intestine = 상부 위 장관
▴ Gastric body and antrum(위의 체부와 유문 전정부 )*을 보려면 : supine(앙와위) & RAO view(우전사위) (*=LPO view)
*바륨이 뒤쪽(아래경사)인 왼쪽으로 몰려 왼쪽의 fundus는 안보인다. * 오른쪽은 바륨 + gas의 double 이 되어 잘보인다.
* cardia : 분문 -> 전정부 : antrum -> Pylorus : 유문
▴ Gastric fundus (위의 기저부) *를 보려면 - LAO view(좌전사위)
*바륨이 아래인 오른쪽으로 몰려 오른쪽에 있는 위 체부와 atrum은 안보임.
※기출 : Preparation : 검사 전날 오후 10시 이후 금식 - (물도 안되고, 껌도 씹으면 위액 많아져 금지) *stomach검사는 전처리가 필요하다!
25.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비후성 유문 협착증)
▴ Unknown cause (확실한 병인은 밝혀지지x)
▴ hypertrophy of pyloric muscle로 인해 obstruction (유문근의 비후로 인해 폐쇄)
▴ 생후 2-4주에 persistent projectile vomiting (점점 심해지는 분출성 구토) *시 비후성 유문 협착증을 의심해야한다.
▴ 남아에 더 많다
▴ X-ray finding
- ① gaseous distended stomach(가스로 인해 팽창된 위)
- ② Small amount of gas in small & large bowel(대장, 소장내 적은 양의 가스 (대장, 소장의 공기 음영 감소))
▴ UGI series finding - 상부 위장관 조영술
- ① double or triple tract sign(이중 혹 삼중 경로징후) - *pyloric canal안의 중앙에 hypertrophy된 pyloric m.이 filling defect처럼 보이게 되어, 양쪽으로 2개 혹은 3개의 경로로 가는 것 처럼 보이게 된다.
- ② string sign(유문관이 실처럼 가늘어짐) - *비후된 유문 근육이 좁아져 실처럼 보임
- ③ shoulder sign(어깨징후) - *2번의 아래쪽은 오히려 넓은 어깨처럼 보이게 됨
- ④ umbrella sign(우산징후) - *3번의 아래쪽은 넓어진 것이 점점 좁혀져서 우산처럼 보이게 됨
- ⑤ tit sign(젖꼭지 모양) - * 2번의 위쪽은 꼭지처럼 보이기도 함
- ⑥ beak sign(새부리 모양) - *2번이 가늘어지는 과정이 새부리모양으로 가늘어짐
※기출 : US finding(초음파 소견) - 비후된 유문 협착증
- ① Thickening of pyloric muscle(유문근의 비후)
- ② doughnut or taget sign on axial scan(횡단스캔에서 도넛 또는 과녁 모양) *pyloric canal을 횡단 했을 때, 도넛 또는 과녁모양
- mucosa : hyper-echoic *단면 원 안쪽은 mucosa층으로서, 밝게 보임
- muscle : hypo-echoic *단면 원 바깥쪽은 muscle층으로서, 거멓게 보임 - ③ cervix sign on longituidinal scan(종단스캔에서 자궁경부 모양)
*uterus(자궁)의 경부(cervix)를 종단 했을 때, anterior wall과 posterior wall의 muscle 층 사이에, mucosa층이 하얗게 보이게 됨.
26. Gastric ulcer(위 궤양)
▴ Peptic ulcer(gastric & duodenal) 25% develop in life time
- * 소화성 궤양 = 위 + 십이지장의 궤양 - 일생동안 25%발생
▴ Common site : lesser curvature, antrum(위 소만, 유문동 - 유문 전정부 )
▴ UGI finding *ulcer로 파인부분에 바륨이 고이게 된다.
- ① ulcer niche(crater)(궤양 오목)(함몰부)-deep penetrating ulcer *밖으로 튀어나와 패인 ulcer
- ② ulcer collar(궤양깃)—압박검사 측면사진상 broad radiolucent line(넓은 검은 선) *ulcer주위로 넓고 꺼먼 라인이 보인다.
- ③ Hampton’s line(햄튼 선)—측면상 linear radiolucent line(가는 선) *ulcer 주위로 선형의 꺼먼 라인이 보인다.
- ④ ulcer mound(궤양둔덕)—염증으로 인한 edema : halo(정면상), mass(측면상) *ulcer주위에 부종으로 인해 정면상으론 halo/측면상mass처럼보임
- ⑤ Converging mucosal folds *ulcer주위의 점막주름이 끌려 오는 것 처럼 보이는 4가지 형태는 안나타난다.. 악성에서만 보임
cut-off, fusion, clubbing, tapering(-) : 악성궤양에서 보이는 단절, 융합, 말단비후, 뾰족함은 보이지않음 - ⑥ indentation in contralateral side : spasm(경련), fibrosis(섬유화) * 로 인한 ulcer가 있는 위벽의, 반대편 위벽에 만입이 생김
※기출 : D/D 양성과 악성 종양
*Carman's meniscus sign : mass안에 ulcer가 들어 있는 것
27. Gastric carcinoma(위암)
1) Early gastric carcinoma(EGC)(조기 위암)
- - confined mucosa, submucosa with or without metastasis & lymph node involvement
* 전이나 림프절침범과 관계없이, muscle층까지는 안가고, 점막/점막하층에만 제한되는 것
2) Advanced gastric carcinoma(진행성 위암)
- - muscle layer involvement(근육층까지 침범)
▴ Classification of EGC 그림2-41(P132) Type IIC , Type IIC + Type III 이 가장 많다
* 가장 어려운 것은 : 2b 의 표면평탄형 / 가장 많은 것 : 2c-표면평탄형 또는 3-함몰+2c-표면평탄형
28. Advanced gastric carcinoma(진행성 위암)
▴ UGI finding(상부위장관조영술)
- ① irregular marginated mass(filling defect) - 불규칙한 경계의 종괴 (충만 결손)
- ② irregular surface of mass - 불규칙한 mass의 표면
- ③ loss of peristalsis - 연동운동 소실
- ④ destruction of surrounding mucosal folds - *위암 주위 점막주름의 파괴
- ⑤ one or more ulceration in mass (Carman's meniscus sign) - 위암mass안에 하나 혹은 다수의 궤양형성
- ⑥ converging mucosal folds : cut-off,fusion,clubbing,tapering(점막주름의 변화: 단절, 융합, 곤봉, 뾰족함)
※ Staging of gastric malignancy : abdomen CT(복부CT에서의 악성종양 기준)
- ① thickening of gastric wall (>1 Cm) : 1cm를 초과하는 위벽의 비후 < 위벽 1cm 이상일 시, 위암2기>
- ② irregular internal cavity : 불규칙한 내강
- ③ hematogeneous meatstasis - liver, adrenal galnd, kidney, bone : 혈행성 전이 - 간, 부신, 신, 뼈 <위암4기>
- ④ lymphatic metastasis - enlarged lymph node (>8 mm) : 림프 전이 - 림프절 크기 8mm를 초과
- ⑤ peritoneal metastasis - ascites : 복막전이 - 복수 <위암4기>
29. Scirrhous gastric carcinoma(경화성 위암)
▴ Infiltratory carcinoma of gastric wall without mass or ulceration(종괴나 궤양이 없는 위벽의 침윤성 암)
*mass나 ulcer는 없지만, 경화성 위암은 위벽을 따라가면서 생기기때문에, 위벽이 두꺼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 X-ray finding
- ① smooth contracted stomach : 부드럽게 수축된 위
- ② decreased diameter of lumen : 내강의 직경 감소
- ③ rigidity of gastric wall : 위벽의 강직
- ④ lack of distensability : 확장의 결핍
- ⑤ absence of peristalsis : 연동운동의 소실
※기출 : leather bottle appearance(entire stomach involve) : 가죽물주머니 모양(전체 위 침윤시)
* 경화성 위암이 위를 전체적으로 침윤하여, 사막에서 쓰는 물주머니(레더보틀)모양으로 생기게 된다.
▴ GFS(위내시경)에서 놓치기 쉬움
※30. Gastric polyp(위 용종)
31. Gastric Submucosal tumor(intra-mural tumor)(점막하 종양)
▴ Leiomyoma(m/c)(평활근종 제일 많음)
▴ Lipoma(지방종), neurofibroma(신경섬유종), carcinoid tumor(카시노이드암), metastatic carcinoma(전이성암), ectopic pancreas(이소성 췌장)
* ectopic +장기 => 그 장기가 아닌 곳에 존재하는 것
※ UGI finding
- ① smooth marginated filling defect(매끈한 표면의 충만결손)
- ② no mucosal change(점막 변화 없음)
- ③ central ulceration(중심성 궤양) *종양 중앙에 궤양이 보인다.
▴ Gastroscopic sonography(위 초음파 내시경)
32. Bezoar(위 석)
▴ 소화되지않는 물질 섭취
▴ 원인
① Phyto bezoar(식물위석) : 감 *감속의 섬유조직이 쌓이는 것
② Tricho bezoar(털위석) : hair
▴ X-ray finding
- ① movable filling defect *가 움직인다...
- ② irregular surface * 감의 섬유조직 or 머리카락의 표면이 불규칙하다
방사선 - 7주차
[Abdomen radiology]
Ⅰ. Simple abdomen
1. 진단방법과 해부학
1. Simple abdomen(단순 복부 X선 촬영)(= plain abdomen) - no contrast media
① erect view(직립위) - both diaphragm포함
② supine view(앙와위) : 테이블 위에 누우면 gas가 전체에 퍼져 air-fluid 소실
③ left lateral decubitus view(free gas) : 우측을 위로하는 측와위는 free gas(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곳이 아닌 곳에 있는 air)를 측정할 수 있는데 우측에 liver가 있어 density 구별이 확실하기 때문, 좌측은 spleen 구별이 쉽지 않아 이용하지 않는다.*
④ trans-table lateral view :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테이블과 평행하게 X선을 사용하는 측위
⇒ ①, ② 두 가지를 한 조로 하는 게 보통
⇒ ③, ④ 는 환자가 거동이 불편하거나 일어날 수 없는 경우 이용.
▴ Liver
- RUQ of abdomen - 우상복부에 위치
- homogeneous increased density - 균일한 증가된 음영
- hepatic angle : greater omentum(대망)과 pericolic fat(대장주위 지방층)에 의해 liver의 inferior margin이 보임
▴ Spleen
- LUQ of abdomen - 좌상복부에 위치
- lower margin이 보임 (내측면은 잘 관찰되지 않는다)
▴ Kidney
- lumbar spine 양측으로 (T11-L3)
- perirenal fat에 둘러싸임
- right kidney가 left kidney보다 낮다 (간에 눌려서)
▴ Properitoneal fat line(=flank stripe)
복막전 지방층으로 후신장주위공간은 전복벽쪽으로 연장되어 복막전 지방층(properitoneal fat)이 되며, 양 옆 복벽에서 X선속과 같은 면으로 촬영되어 복막 외측에 위치한 얇은 지방층(flank stripe)을 만든다)
▴ Psoas line(요근선)
- psoas muscle(L1-pelvis)의 외곽선.
- psoas line obliteration(요근선이 소실되는 경우)
: retroperitoneal mass, inflammation, hemorrhage(후복막강내 종양, 염증, 출혈)
▴ Gastrointestinal air(위장관내 공기)
- swallowing air(정상적 삼킨 공기), gas forming bacteria(장내세균 발생)
: stomach(위), duodenal bulb(십이지장 구부), colon,
small bowel(8~10cm length --- abnormal)
▴ D/D small bowel와 large bowel
2. 질환별 소견
2. Mechanical ileus (= simple obstruction)(단순 장폐색)
▴ Definition : Occlusion at single point with not interfere blood supply
(한 곳에서 폐쇄가 일어나고 혈액순환은 장애를 받지 않는 것)
▴ Etiology : ① Adhesive band(post-operative(수술후 섬유화)) ② Tumor(종양)
▴ Pathology : proximal accumulation of gas & fluid(원위부분에 수분과 공기의 저류(air-fluid level 형성))
*막힌 부위의 proximal쪽(위 쪽)에서 gas와 fluid가 찬다 -> air-fluid레벨 형성 -> 보상으로 연동운동도 심해짐
▴ X-ray finding
- ① intestinal distension(장 팽창) : small bowel 3cm이상(diameter), large bowel 9cm이상 일 때 비정상
- ② multiple air-fluid level(다수의 air fluid level) * 여러부위에서 막힐 경우. 예를 들어, 물↗ --- gas --- ↘물
- ③ string of bead (점막주름이 구슬을 연결한 듯 보이는 것으로 mucosa fold 사이에 air가 들어있고, 밑 bowel은 fluid로 가득 차서 air만 X-ray 상 나타나기 때문에 염주처럼 보이게 된다.)
* 가로로 누워있는 small bowel(원형 주름)의 mucosa fold 사이로 공기가 찬다. 밑은 fluid가 차있음. - ④ no or small amount of gas in distal bowel (compensatory peristalsis(보상성 연동운동))
* 막힌부분 이하를 의미하는 distal bowel에서는 보상성 연동운동에 의해 다빠져나감.
(distal에 없는 이유 : mechanical obstruction에서 gas나 fluid가 나가지 않을 경우 peristalsis(연동운동)가 커지는데 proximal의 경우 폐색에 막혀서 더 안 나가나 distal은 연동운동 등으로 gas나 fluid가 밀려남)
▴ Increased interlopal distance(장간거리가 늘어나는 경우 = 장벽이 두꺼워지는 경우)
*꼬여서 붙어있는 bowel과 bowel 사이에 거리가 증가한 경우를 의미
- ① edema, hemorrhage, necrosis in bowel wall(장벽의 부종, 출혈, 괴사)
- ② ascites(복수)
- 의의 : strangulation obstuction (*혈액공급을 방해받아서 bowel이 괴사되어 폐쇄)
▴ Diagnosis
- ① 폐쇄부위 : Small Bowel obstruction을 알기위해선 * 바륨을 넣고 시간마다 찍어야한다.
- small bowel series(SBS) 으로서 BaSO₄(황산바륨)
- gastrograffin은 금기(hyper-osmolar) 탈수악화, 희석되어 진단 어려움 *수용성&hyper-osmolar라서 장액이 더 많이 나와버림
- ② 폐쇄부위 : Colon obstruction(대장 폐쇄)을 알기 위해서,
- colon study : BaSO₄(항문에 관을 통해 황산바륨을 주입한다.) * oral intake는 금지된다. 수분흡수로 인해 돌덩이처럼 되어버림
- Oral intake(BaSO₄는 돌가루라 경구 섭취할 경우 막힌 부분에서 수분을 흡수해 돌이 됨)은 금기
3. Strangulation obstruction(교액성 장폐쇄) * 막힘+혈액공급안됨 -> 괴사한 것
▴ Definition : Intestinal obstruction with impaired blood supply(vein) --- bowel necrosis
(혈류공급 장애를 동반한 장 폐쇄로 계속될 시에 괴사됨, 단순 장폐쇄보다 응급상황)
▴ X-ray finding
- ① fixation of bowel loops(장이 원래 움직이나 고정되어 위치가 변하지 않음 여러번 찍어서 확인)
* 괴사되어 연동운동이 없으므로, 넣은 바륨이 이동하질 않는다. - ② hypertrophy of intestinal wall & mucosal folds (점막주름 및 장벽의 비후) * 엄지손가락으로 누른 것같이 비후되어 주름형성
(thumb printing : 엄지손가락으로 누른것 같음) - ③ ascites(괴사로 인해 생긴 복수)
- ④ increased intestinal fluid(증가하는 장내 액체)
- ⑤ intramural gas(장벽 내의 공기 음영) * 심해졌을 때, 장내로 가스가 들어간...
▴ 임상적으로 bowel sound가 소실되거나 peritonitis(복막염)의 소견이 보이면 strangulation(교액성 장폐쇄)를 의심
4. volvulus (장축염전증) - 교액성 장폐쇄 일종 *머슬이 꼬인 것
▴ Definition :
- ① torsion of bowel(장이 꼬임) * 그 결과2번 3번이 일어남
- ② obstruction of afferent & efferent loops(수출각과 수입각의 폐쇄)
- ③ impaired blood supply(혈액공급 장애)
▴ Common site
- ① sigmoid colon 이 가장 많다
- ② cecum
- ③ small bowel, stomach
▴ X-ray finding of colon volvulus
- ① coffee bean sign - gas distended large bowel(대장내 개스가 팽창되어 커피콩모양으로 보임)
* 꼬여서 돌아간 한 부분이 커피콩처럼 부풀어 있다. - ② proximal obstruction(근위부폐쇄)
* 막힌 부위 위쪽이 폐쇄된다.
5. Paralytic ileus(마비성 장폐색증) *장 전체가 마비되는 것을 말한다.
▴ Definition :
- no peristalsis(연동운동) with no obstruction / air & fluid accumulation in small & large intestine
* 막힌곳이 없는데도 연동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장 전체마비로, obstruction효과가 나타나 gas와 fluid가 내려가지 못하고 쌓인다.
▴ Etiology
- ① trauma(외상)
- ② peritonitis(복막염)
- ③ operation(수술)
- ④ metabolic disorder(대사성이상) : hypokalemia(저칼륨혈증)
▴ X-ray finding
- ① distension of small & large bowel(소장과 대장의 팽창)
- ② air fluid level : ①, ② 모두 mechanical ileus 보다 약하다.
6. Sentinel loop sign(보초장관) : 마비성 장폐색증의 일종
▴ Definition : Intra-abdominal inflammation(복부내 염증)이 있을 때 주위에 localized paralytic ileus(국소적 마비성 장폐색증)가 있는 것
- ① Acute cholecystitis(급성 담낭염) - RUQ of abdomen
- ② Acute appendicitis(급성 충수염) - RLQ of abdomen
- ③ Acute pancreatitis(급성 췌장염) - Upper abdomen
7. Ischemic intestinal disease(허혈성 장질환)
▴ Etiology
- ① embolism(혈전) * mesenteric a.가 막혀 장이 허혈상태에 이름
- ② thrombus(색전)
- ③ non-occlusive mesenteric ischemia(폐색되지 않은 장간막 허혈) *obstruction은 없으나 heart가 안좋아서 제대로 못짜냄.
- low cardiac output(심장이 안 좋아 박출량 저하로 bowel쪽 혈액공급이 저하되는 것) - ④ mesenteric venous thrombosis(장간막 정맥 색전) *vein이 막혀서 허혈
▴ X-ray finding
- ① multiple air-fluid level(다발성의 공기-물층)
- ② hypertrophy and thickening of intestinal wall(장벽의 비대와 비후)
- ③ thumb printing(intestinal wall E & H)(무지압흔) (장벽의 부종이나 출혈) - 2번과 같은 의미
- ④ pneumatosis(intramural gas)(공기증, 기종)
- ⑤ portal vein gas(문맥내 gas)
- ⑥ pneumoperitoneum(기복증- 복강내 gas)
▴ CT, angiography * 확실한 진단시 필요함
8. Abdominal calcification(복부의 석회화)
- ① Liver -- stone, inflammation, cyst wall *stone은 원래 lucent해서 10~15%정도 밖에 안보이나, 가끔 보임.
- ② Gall bladder -- stone, GB wall
- ③ renal or ureteral or bladder stone 신, 요관 , 방광 결석 (85~90% 이상 radio opaque)
- ④ costal cartilage calcification 늑연골 석회화
- ⑤ Spleen - inflammation 비장 염증
- ⑥ Chronic pancreatitis 만성 췌장염
- ⑦ mesenteric lymph node calcification 장간막 림프절 석회화(결핵 후 환자) *우리나라 결핵환자 대부분
- ⑧ adrenal gland(부신) -- tuberculosis, hemorrhage *가 생긴 후 나은 뒤에 석회화됨
- ⑨ atherosclerosis(죽상경화증) - aorta, splenic A, renal A
- ⑩ phlebolith(정맥결석)
- ⑪ uterine leiomyoma(자궁 근종), ovarian teratoma(난소 기형종)
- ⑫ prostate(전립선)
- ⑬ neuroblastoma(신경 모세포종)
9. Pneumoperitoneum(공기 배증)= free gas와 같은 말.
▴ free gas - GI tract이 아닌 peritoneal cavity(복막 강)에 공기가 존재하는 것
▴ Etiology
- ① bowel perforation(위장관 천공) : peptic ulcer소화성 궤양, malignant tumor악성 종양, diverticulum게실, trauma외상
- 가장 큰 이유 - ② gas forming bacterial infection(공기를 형성하는 세균으로 인한 감염)
- ③ operation(수술)
- ④ Rubin test(불임시 air 주입하여 난관이 통하는지 확인) * 나팔관이 안막혀있는 부분을 통해 air가 peritoneal cavity로 들어감
- ⑤ pneumomediastinum(기 종격) *mediastinum에 air가 많이 있을 때는, fasica를 타고 peritoneal cavity로 내려감
▴ X-ray finding
- ① erect view : subphrenic crescent radiolucency(횡격막 직하부에 위치한 초승달 모양의 방사선 투과성 음영)
* 위쪽 복망강에 free gas가 차면서, 횡격막이 보이게 되고, 횡격막 아래는 초승달 모양으로 radiolucency가 보인다. - ② supine view
- double wall sign
*bowel(장)은 정상gas가 차있는 내벽만 보이고, 외벽은 subtissue와 함께 섞여 안보여야 정상이나,
바깥의 복망강에 free gas가 차는 바람에, 장의 외벽까지 보이게 되어 장의 내벽과 외벽이 모두 보이는 현상
- football sign(falciform ligament)(전복벽의 후면에 있는 겸상인대가 공기에 의해 보이는 현상)
* 앙와위로 누으면, 위로 free gas가 몰려, 안보이던 겸상인데(falciform lig)가 보이게 된다. - ③ Left lateral decubitus view of abdomen(환자가 기립위로 찍을 수 없을 때)
- ④ Trans-table lateral view of abdomen(환자 거동이 전혀 불가능 할 때. 복벽 직하부에 공기음영 있는지를 확인)
- cf) double wall sign – 내벽 안에 있는 공기를 경계로 내벽만 보이는 것이 정상. 정상적으로 soft tissue가 있으면 보이지 않아야 할 외벽이 bowel 밖으로 경계가 생겨서 2개의 층이 보임.
10. Air in portal vein(문맥 내 공기)
▴ Etiology
- 1) bowel necrosis(위장관 괴사)*로 인해 gas가 portal v.으로 세어나감
- ① necrotic enteritis(괴사성 장염)
- ② ischemic enteritis(허혈성 장염)
- ③ strangulation obstruction(교액성 장폐쇄) *막힘+혈액공급까지 안되 괴사하는 것
- ④ ulcerative colitis(궤양성 대장염)
- 2) gas forming bacterial infection(공기를 만드는 세균에 의한 감염)
▴ X-ray finding
- ① branched air density in RUQ of abdomen
11. Air in biliary tree(담도 내 공기) ※기출
▴ Etiology
- ① by-pass surgery(담도 우회술)
- ② incompetent sphincter of Oddi(오디 괄약근이 느슨해 공기가 담도 내로 역류)
12. Ascites(복수)
※기출 : Etiology
- ① congestive heart failure(울혈성 심부전) *심장이 제대로 짜내지못함-> 압력이 뒤로 감-> 역류-> 울혈됨
- ② liver cirrhosis(간경화) *간에서 알부민 생성 못함-> 혈액 삼투압 떨어짐 -> 복강 쪽으로 빠져나감
- ③ nephrotic syndrome(신증후군) * 소변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삼투압 떨어짐 -> 복강 쪽으로 빠져나감
- ④ malignancy(악성종양)
- ⑤ peritonitis(복막염)
※기출 : X-ray finding
- 1) supine view
- ① diffuse homogeneous increased density in abdomen(흩어진 동일한 복부 음영이 증가) * 복수가 차니까 전체적으로 density증가
- ② obliteration of renal, hepatic, splenic, psoas shadow(신, 간, 비, 요근의 음영소실) *복수가 차니까, shadow들이 잘 안보여짐
- ③ increased interlopal distance *가운데 복수가 차니까, bowel과 bowel사이의 거리가 멀어짐
- ④ increased distance between colon gas and flank stripe
* flank stripe( 허리 라인을 말하는 듯)과 colon 사이에 복수가 차니까 그만큼 거리가 멀어짐 - ⑤ bulging of flank stripe(허리라인이 바깥쪽으로 넓어짐)
- 2) erect view
- ① increased pelvic cavity density(골반강 음영 증가) - * 직립해서 스니까, 복수가 pelvis로 내려가기 때문에 골반강 음영 증가
- ② no visible small bowel gas in pelvic cavity - * 직립해서 스니까, gas는 위로 올라가므로, 골반강에서는 소장의 가스가 안보임
- 3) Diagnosis of ascites - ultrasonography(복수의 진단은 초음파로 주로 진단함)
Ⅱ Gastro-intestinal disease(위장관 질환)
13. contrast media(위장관 질환의 조영제, 전부 soft tissue)
- ① air, CO2
- ② BaSo₄(황산바륨) : 점막 친화도가 높고 대조도가 뛰어나다.
- ③ iodine compound(요오드화합물) - gastrograffin : 바륨과 비교해 영상의 질 떨어짐
- - ionic, non-ionic compound * ionic은 거의 사용 안함
- - bowel perforation : barium peritonitis(장 천공시 바륨 복막염에 대한 위험 때문에 요오드화합물 사용)
- - aspiration(폐흡인) 위험시 금기(hyperosmolar) : pulmonary edema(폐부종) *장액이 더 나오게 만듬.
2018. 5. 9 나주 돌박사(황태떡국)
가는 길
나주 동신대에서 차로 10분 정도 거리에, 나주시청쪽으로 가다보면 돌박사라는 식당이 있다.
본초교수님이 소개해준 곳이라 신뢰를 가지고 있는 곳이다.
근데 사실, 동기 4명이 갔다가 다음 날 3명이 설사를 하는 바람에,,, 한동안 안갔다가..
오랜만에 가면 정말 맛있다.
황태떡국은 나주에 와서 처음 본 음식이다.
걸죽한 떡국에 황태가 들어갔는데, 고추랑 새우젓을 넣어서 먹으면 정말 맛있다.
사진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5. 18 나주 삼겹살집 숭이네 (0) | 2018.05.29 |
---|---|
2018. 5. 15 나주 초밥집 라쿠 (0) | 2018.05.29 |
2018. 5. 7 나주 영산포 부산식당 (0) | 2018.05.10 |
2018. 5. 6 나주혁신 가내수공업( 쭈꾸미 + 고르곤졸라 피자 ) (0) | 2018.05.10 |
2018. 5. 2 나주 보리밥 집 해밀보리밥 (0) | 2018.05.02 |
2018. 5. 7 나주 영산포 부산식당
가는 길
나주 동신대에서 차로 10분거리에 있는 쌀국수집+카페가 묶여있는 Breeze를 자주간다.
하필 연휴라 쌀국수집이 문을 닫아서, 그 근처의 식당을 찾아보다가, 일반식당을 찾아 들어갔다.
1인분 8000원인, 홍어찜 백반은 서브메뉴가 매우 다양하다
원래 김치찌개를 먹으려 했으나, 옆 테이블 반찬 나오는 것을 보고 홍어찜 먹지도 않는데 바로 바꿨다.
밑반찬 때문에 여자친구가 매우 만족했다..
나는 그냥 딱 풍부한 시골밥상
사진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5. 15 나주 초밥집 라쿠 (0) | 2018.05.29 |
---|---|
2018. 5. 9 나주 돌박사(황태떡국) (0) | 2018.05.10 |
2018. 5. 6 나주혁신 가내수공업( 쭈꾸미 + 고르곤졸라 피자 ) (0) | 2018.05.10 |
2018. 5. 2 나주 보리밥 집 해밀보리밥 (0) | 2018.05.02 |
2018. 5. 1 나주 청국장 & 보쌈집 메주愛꽃 (0) | 2018.05.02 |
2018. 5. 6 나주혁신 가내수공업( 쭈꾸미 + 고르곤졸라 피자 )
가는 길
나주에서서 나주혁신 호수공원까지 대략 20분 정도 소요된다.
쭈꾸미를 넣은 볶은 밥이 맛있어서 다시 찾았다.
여자친구가 갑자기 땡긴다고 해서 찾은 곳
2인 세트가 28000원 정도 한다.
8000원에 쭈꾸미 볶음밥만 먹어도 되나,, 야채를 좋아하는 여자친구가 안사주면 거의 삐질 위기였다.
연휴기간에 과제폭탄으로 우울한 상황이었기 때문..
바로앞에는 호수공원이 있다 산책하기 좋은 곳이다.
사진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5. 9 나주 돌박사(황태떡국) (0) | 2018.05.10 |
---|---|
2018. 5. 7 나주 영산포 부산식당 (0) | 2018.05.10 |
2018. 5. 2 나주 보리밥 집 해밀보리밥 (0) | 2018.05.02 |
2018. 5. 1 나주 청국장 & 보쌈집 메주愛꽃 (0) | 2018.05.02 |
2018. 4. 29 현대호텔 목포 도원이 결혼식 가기 (0) | 2018.04.30 |
2018. 5. 2 나주 보리밥 집 해밀보리밥
가는 길
나주-> 광주방향으로 갈 때 차로 5분거리.
내 일기장 글들은... 새로운 맛집 식당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다...
거의 4년동안 여자친구랑 다닌 곳중에.. 건강하고... 괜찮은 집만 소개한다...
보리밥집은... 가격이 많이 올랐다.
예과1 7천원으로 시작했었는데
본과3 지금은,, 2인상 주문해야하고 9천원으로 올랐다.
사실 7천원 치고는 너무 잘 나왔었다.
여기 가면, 시원한 수정과를 무제한으로 떠먹을 수 있다. 그리고 건강해진다는 느낌이 든다.
염소같은 여자친구는 풀을 좋아하기 때문에, 신선한 채소를 뜯으로 자주온다.
보리밥방구 폭탄 맞기 싫거나, 보리밥을 즐겨 먹지 않는 사람은,
"쌀보리 반반이요~" 를 외치면 된다.
사진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5. 7 나주 영산포 부산식당 (0) | 2018.05.10 |
---|---|
2018. 5. 6 나주혁신 가내수공업( 쭈꾸미 + 고르곤졸라 피자 ) (0) | 2018.05.10 |
2018. 5. 1 나주 청국장 & 보쌈집 메주愛꽃 (0) | 2018.05.02 |
2018. 4. 29 현대호텔 목포 도원이 결혼식 가기 (0) | 2018.04.30 |
2018. 4. 28 광주 송정역근처 양꼬치집 장백산 (0) | 2018.04.30 |
2018. 5. 1 나주 청국장 & 보쌈집 메주愛꽃
가는 길
나주 시내 터미널에서 10분 거리 정도 될려나, 메주愛꽃를 검색해서 가면 된다.
나주 식당들 특징이... 문은 좁은데 속은 넓은 숨겨진 식당들이 많다.
여기는 청국장을 먹으러 여자친구와 자주 오는 곳인데,, 오늘은 보쌈을 먹으러 왔다.
강황에 염색시킨 두부와 보쌈인데, 3000원으로 밥을 하나 더 시키면, 마찬가지로 노란색으로 염색된 강황밥이 나온다.
근데 그게 강황인지는 모른다. 노란색이라서 추측만 해본 것일 뿐..
청국장도 맛있었지만,, 보쌈도 맛있다.
청국장은 6천원인가 7천원
보쌈은 28000원이 소짜..였던 것 같다. 여기에 돌솥밥 1그릇당 3천원씩 추가된다.
사진들
'한의대 생활 > 전남 나주 식당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5. 6 나주혁신 가내수공업( 쭈꾸미 + 고르곤졸라 피자 ) (0) | 2018.05.10 |
---|---|
2018. 5. 2 나주 보리밥 집 해밀보리밥 (0) | 2018.05.02 |
2018. 4. 29 현대호텔 목포 도원이 결혼식 가기 (0) | 2018.04.30 |
2018. 4. 28 광주 송정역근처 양꼬치집 장백산 (0) | 2018.04.30 |
2018. 4. 28 나주 남양유업 카페 방문기 (0) | 2018.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