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잉크 스케이프를 이용하여 Figure 작성하기 (1)
2018. 10. 11. 20:24
- 지난 시간까지 만들 figure 템플릿을 연 다음, 각종 프로그램에서 pdf형태로 저장 그래프를
해당 템플릿의 Layer2부터 선택한 뒤, 드래그를 통해 갖다놓는다. - 여기서는 One Column( 89mm ) Figure안에 2개의 그래프를 넣을 것이므로,
One Column을 1/2로 나누는 가이드라인 in Layer1
( 시작선 18mm + onecolumns 89mm의 절반 44.5mm = 62.5mm)
- bleed 4칸 12mm + Fig시작까지 2칸 6mm = 18mm <시작점이라 생각하자>
- 18mm에서 시작하는 one column 너비 = 89mm
- one column의 절반 = 44.5mm
==> 18mm에서 시작하여 사용가능한 one columns너비의 절반 44.5mm을 가서 62.5mm - 붙혀놓은 그래프를 [F1]을 통해서 선택 한 뒤,
[Ctrl]키를 누른 상태로 비율을 유지하면서 우하단의 점을 드래그하여 크기를 줄인다.
이동하면서, 우측라인 (왼 오른 아무거나)에 맞춰 이동시킨 다음,
반대쪽을 다시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비율을 조절한다. - 2번째 그래프도 마찬가지로 추가해준다.
- 2개의 그래프를 [Shift]로 복수 선택 한뒤, 수평으로 정렬해보자.
Object > Align and Distribute [ Shift + Ctrl + A ] > Center on horizontal axis - 만약, 원래 그래프가 동일한 크기였는데도, 먼가 가이드라인에 정확하게 안붙는다면,
Layer1에 있는 grid때문이니, [#] 눌러서 grid를 없애고 horizontal을 맞추면 된다. - 나는, two columns(183mm) 안에 3개의 그래프가 들어가도록 해보자.
각각 61mm씩 차지하면 된다. 시작이 18mm이므로
- 18 + 61 에 1개, 18+61+61에 1개 의 총 2개의 가이드라인을 그어보자. - 3개의 그래프를 넣고 왼쪽부터 정렬[Shift + Ctrl + A]해주자.
간단하게 위 ruler에서 가이드라인을 테스트로 내려봐서 확인해두된다. - 가져온 그래프들을 규격에 맞춰서 넣었다면,
이제 각 그래프의 벡터요소들을 다루기 위해 그룹을 푼다 [ Shift + Ctrl + G ]
- 필요한만큼 계속 Ungroup 해주면, 계속 풀린다.
- 하얀 배경이 항상 포함되어있으니, 제거하자
- 제목과, 눈금의 단위는 제거할 것이지만, 다시 입히기 위해 남겨두자. - 지울 것을 다 지웠으면, [#]을 통해 다시 grid를 표시한 뒤,
각 Bar간의 간격을 mm단위로 살펴본다. 그리고 맨 첫번째 bar와 y축간의 거리를 거기에 맞춰야한다
- 예시 그래프의 경우, 각 bar의 간격이 4mm이다. 이제 y축과 첫번째 축의 간격도 4mm로 고쳐야한다 - y축을 가져오는 방법
(1)먼저, bar에서 왼쪽으로 4mm되는 지점에 가이드라인을 그려준다.
(2)y축을 4mm간격의 가이드라인으로 당겨온다. 가져올때는 [Ctrl]을 눌러 가로로만 움직이도록 하자.
- 최대한 확대해서 키보드로 움직이면 0.5mm로 가져올 수 있다.
- 이 때, 눈금바까지만 가져오고, 참고 단위는 놔두자.
(3) [F2]를 눌러 trip tool을 선택한 뒤, [Ctrl]을 누른채로 x축의 끝부분을 드래그해온다.
(4) 이제 가이드라인을 제거해준다. - 마찬가지로, 오른쪽의 x축 끝도 bar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에서 끝나도록
(1) 가이드라인 생성 (2) trip으로 가져오기 (3) 가이드라인 제거 (4) 쓰레기들 제거 해준다. - 이제 label들을 옆으로 빼주고, 그래프요소들만 선택하여 라인 속성 등을 바꿔보자.
- Object > Fill and Stroke [Shift + Ctrl + F]를 선택한 뒤,
(1) Stroke style에서 Width 를 0.5(or 1) , 단위를 pt로 바꾸자.
(2) 각 bar의 개별접근을 위해, ungroup을 몇번 더하자.
(3) Fill에서 color를 칠하는데 4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RGB이다.
하지만, 밑에 있는 pallate를 편하게 이용하면 된다. - 이제 텍스트[F8] 를 넣어주자.
- 아무데나 찍어준 다음, Arial 로 고치고 font크기를 9(nature등은 8을 넘지말라고함)로 준 다음,
- 선택툴 더블클릭으로 45도 회전시켜주자. - (1)45도 회전한 label의 끝이 bar의 가운데 오도록 가이드 라인을 그린다.
(2) x축에서는 밑으로 2mm가 떨어지도록 가이드라인을 그린다.
(3) 마지막 텍스트를 2개 가이드라인에 걸리도록 이동시켜준다. - 이제 첫번째 라벨을 선택한 뒤, [Ctrl + D]를 통해 제자리에서 복제해놓고,
(1)첫번째 bar의 가이드라인을 두번째 bar의 중앙으로 옴겨놓고
(2) ctrl을 누른체로 다음bar의 라벨 위치로 움직인다.
(3) 3번째도 똑같이 생성해준다. - y축의 label을 달기 위해,
(1)y축에서 2mm떨어진 가이드라인을 만들자.
(2)x축의 첫번째 label을 복제 한 뒤, y축의 최초 눈금을 만들고, 다시 45회전을 복구한다.
(3) 만든 레이블을 배치한다.
(4) 다시 label을 복제한 뒤, 키보드로 위로 올려서 가다가, 눈금바에 맞는 가이드라인을 그어
2번째 레이블을 완성한다.
(5) 반복해서 생성한다.
'한의대 생활 > 본3 - 논문써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잉크 스케이프를 이용하여 이미지 삽입해서 편집하기 / ppt 등에 그림으로 삽입시키기(*.emf) (0) | 2018.10.13 |
---|---|
13. 잉크 스케이프를 이용하여 Figure 작성하기 (2) (0) | 2018.10.11 |
11. 잉크 스케이프를 통한 Figure Templates 만들기 (0) | 2018.10.08 |
10. 잉크 스케이프 기초 (0) | 2018.10.08 |
9. Revision(논문 수정하기) 와 Appeal 하기 (0) | 2018.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