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아이피 주소(IP address)
○ IP(Internet Protocol) : 인터넷에서 다른컴퓨터와 통신할 때 쓰는, 프로토콜
ex> 1비트는 0과 1이나 2^1개라 하면, 현재 IP는 32비트로 2^32 : 40억개의 주소를 표현할 수 있다.
○ 웹사이트 접속 :
[Broswer] ---도메인주소(www.dshani.org)--> [DNS server] : IP변환--> [Broswer]
● 도메인주소를 실제IP로 변환해서 보는 방법 : CMD창에서 'nslookup naver.com'
○ IP 주소체계
- IPv4 : 지금 흔히 사용하는 IP주소체계로, 버전이 4이다. 40억개 주소만 생성
ex> 192.168.0.1
- IPv6 : 버젼6으로 버젼4의 40억개의 주소로 모자란 것을 대체할 것이다.
○ IP의 분류(4)
1. 공인IP : 세계 단 하나뿐인 IP, [ 공유기의 '라우터' ]
- 바뀌면 안되는 CLIENT<->SERVER간의 서버IP가 공인IP에 해당해야한다. 바뀌면 안된다.
● 서버를 유동IP로 구축할 경우 :
Dynamic DNS(DDNS)로, 사용자가 도메인주소로 접속할 때, IP를 할당해주는 DNS서버 자체가 실시간으로 바뀌는 유동IP를 가지고 있어서,
client가 요청시에 할당된 ip를 실시간으로 뿌려준다.
●DDNS의 원리 : 서버--> DDNS server에게 특정주기로 바뀐ip주소를 알려줌.
DDNS server는 client에게 그 바뀐 ip를 제공해준다.
2. 사설IP : '공유기'를 이용해서 만들 수 있는 각 컴퓨터의 '가상' 의 IP주소 , [ '내부망' ]
- 공유기로 연결된 내부망에 적용되는 IP
- 사설IP(공유기에 연결된 컴퓨터의 가상IP)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공인IP인 '라우터'를 거쳐서 다른 공인IP(라우터)를 통해서 다른 사설IP와 통신한다.
즉, 한번에 사설IP가 다른 사설IP와 통신 할 수 없다.
3. 고정IP : 컴퓨터가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IP
4. 유동IP : 수시로 변하는 IP
조재성) 공인=라우터, 사설=내부망, 유동=변하는, 고정=변하지않는 으로 해석한다.
'개발공통 > IT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단축키 추가하기 - [글 수정 단축키 m] (0) | 2019.01.02 |
---|---|
윈도우10 로그인 비밀번호 제거하기 (0) | 2018.03.14 |
윈도우10에서 윈도우7 시작메뉴 사용하기–Classic Shell (0) | 2018.03.10 |
C드라이버 용량 늘이기 2가지 방법 (0) | 2018.01.24 |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NAT, 포트포워딩, IP추적 (0) | 2018.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