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NAT, 포트포워딩, IP추적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KT나 SKT처럼 인터넷 서비스를 판매하여 공급해주는 업체를 생각하면 된다
- 일반 가정집 [HOME]에서는 [ISP]( KT 또는 SKT인터넷)에서 1개의 '유동'IP를 제공받는다. (고정IP는 비싸다)
- 일반 가정집은 유동IP이기 때문에, 서버를 만들려면 저번 포스트의 DDNS를 사용해서 구축할 수 있다. 더 쉽게 하려면 호스팅업체(cafe24 등)에서 구매하여 고정&공인IP를 제공 받는다.
○ 유동IP 변경 방식
- KT에서 인터넷을 신청하면 --> 유동IP가 할당 --> 공유기 연결시 : 121.129.87.55
--> PC 바로 연결시 : 168.126.35.122
- 이렇게 차이나는 이유는 유동IP가 MAC주소를 토대로 바로바로 아이피를 할당해주기 때문에, 각 컴퓨터나 공유기 등의 장치마다 고유주소(MAC주소-물리적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연결하는 장치마다 다른 IP가 할당되는 것이다.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공유기가 하나의 공인IP를 여러개의 내부망 사설IP들로 나누는 기술
- 사설IP를 사용하여, 내부망을 공유기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공유기까지는 (공인IP)는 전세계 40억개 밖에 주소를 할당 못하니, 사설IP를 만들어서 부족한 수를 해결한다.
○ 나의 IP주소 알아보기
○ 포트포워딩
○ 내부망에서 2개이상의 웹서버의 운용
○ IP대역의 중복
- 내 공유기속 내부망의 사설IP와 다른 외부의 공유기속 내부망 사설IP가 같을 수 있다(A, B, C대역으로 정해져있었다. 보통 가정집은 C대역)
그러나, 통신은 공유기(라우터, 공인IP)를 통해서 하기 때문에 상관없다. *사설IP를 인위로 바꿔서 외부의 공인IP랑 겹치는 일이 없도록 하자
○ IP추적
● 나의 IP를 확인하는 방법 : 네이버에서 '아이피 주소'를 검색해서 확인한다. - 내부망 내 사설ip가 뜬다.
● 나의 공인IP 확인하는 방법은 IP확인 사이트를 들어가서 확인해야 한다. findip.opendocs.co.kr
- ISP(KT나 SKT)가 뜨고, 아래에는 USER의 정보가 뜬다. 요 근래에는 ISP급으로 나온다. 사설IP까지 나오려면 경찰동원으로...
'개발공통 > IT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단축키 추가하기 - [글 수정 단축키 m] (0) | 2019.01.02 |
---|---|
윈도우10 로그인 비밀번호 제거하기 (0) | 2018.03.14 |
윈도우10에서 윈도우7 시작메뉴 사용하기–Classic Shell (0) | 2018.03.10 |
C드라이버 용량 늘이기 2가지 방법 (0) | 2018.01.24 |
인터넷과 아이피 주소(IP address) (0) | 201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