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 원격저장소 및 협업(Clone/Author/Pull/Push) 정리 + 프로젝트 및 상위폴더 관리
원격저장소(github)
- 가입 후 저장소를 만들고, 저장소 http를 복사해놓자
- 소스트리에서는 Add Remote를 통해 로컬저장소에다가 원격저장소를 연결시킨다.(Remote-origin)
- 소스트리에서 로컬저장소 내용은 Push해준다.
Clone : 새로운멤버가 프로젝트를 다운받는 것. 대신 폴더명에 작업자를 기재해준다.
- 원격저장소(github)의 Repository의 Clone with HTTPS 주소 복사
- 소스트리의 새 탭에 Clone - [ Url 복붙 ] + [ Destination - Browse]를 통해 로컬저장소의 <작업자명의 폴더 생성> / Open in Explorer를 통해 파일 확인
만약 같은 컴퓨터라서 Author를 다르게 지정하는 법
- git config user.name "new"
- git config user.email "new@gmail.com"
Pull : 원격저장소의 버전을 가져오는 것.
- 작업시작하기 전 / 작업을 Push하기 전 2회에 걸쳐서 해줄 것.
- 만약 pull안하고push해서 거절당하면, pull을 해서 병합 버전부터 만들어줘야한다.
- 만약 pull시 충돌이 일어난다면, 충돌해결과정 [직접파일수정 -> Mark Resolved -> commit ]을 거쳐야한다.
----
기존 만들어진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상위폴더에 github 연결방법
1. 소스트리에서 상위폴더를 생성 -> github저장소 생성 -> 상위폴더에 Add Remote로 연결 -> 각 하위폴더(프로젝트들)을 안스에서 Enable VCS 적용
기존의 상위프로젝트 전체를 github 연결방법
1. 상위프로젝트 우클릭> git Bash - git init 입력 -> 소스트리에서 Add가능 -> github에 저장소 생성 후 https복사 -> 소스트리에서 remote 연결
(상단 Repository > Repository setting > remote
git 연결해제 및 히스토리 삭제
해당 폴더의 숨김폴더 .git을 삭제하면 됨